경제·금융

정액요금제 인터넷전화업계 `악재'

시내.시외전화 서비스 업체들이 일정액의 요금을내면 전화를 무한정 사용할 수 있는 정액요금제를 잇따라 내놓자 인터넷전화(VOIP) 업체들이 큰 시름에 빠졌다.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인터넷전화 서비스업체들은 KT, 하나로통신, 데이콤, 온세통신 등 유선통신 사업자들이 내놓은 정액요금제가 국내 인터넷전화 시장을 급격히 위축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인터넷전화가 일반전화(PSTN)보다 통화음질이 떨어지지만 기업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대돼왔으며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인터넷 전화 사용자가 늘고 있는 추세였다. 그러나 일반 시내.시외 전화요금에 정액제가 도입되면서 통화요금 부담이 현격하게 줄면서 굳이 상대적으로 싸지도 않은 인터넷 전화를 쓸 필요가 없게돼 인터넷전화 업체들은 존립의 위기를 맞게 된 것. 이와 관련, 한 인터넷전화 서비스 업체 관계자는 "일반전화에 비해 인터넷 전화요금이 30% 가량 저렴한 것이 큰 장점이었다"며 "그러나 정액요금제로 무제한 전화를 쓸 수 있게 됐기 때문에 굳이 통화음질이 떨어지는 인터넷전화를 쓸 이유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KT의 한 관계자도 "인터넷전화시장이 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돼 왔으며 앞으로 일반 가정으로까지 침투하려는 단계에서 정액요금제라는 커다란 진입장벽에 부딪히게됐다"고 말했다. 정액요금제는 KT가 지난 9월 10일부터 각 가정의 월평균 요금에 일정액을 추가로 내는 조건으로 시내.시외 전화요금에 도입했으며 이어 데이콤, 하나로통신, 온세통신이 잇따라 이 상품을 내놨다. 특히 하나로통신은 파격적으로 싼 월 5천200∼7천700원의 완전정액 요금제를 들고나오면서 유선 전화사업자간 가격경쟁이 불붙은 상태다. (서울=연합뉴스) 박창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