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참여정부 임명 기관장들 업무보고 참석말라"

사퇴 압박 불구 버티기에 특단의 카드 꺼내<br>민주당 "與공천 탈락자 자리 마련용" 비난

참여정부에서 임명된 임기직 산하기관장에 대한 사퇴 압박이 본격화하고 있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전 정권 기관장들은 부처 업무보고에 참석하지 말라"며 사실상 '사퇴'를 종용했다. 집권 여당인 한나라당과 정부 부처의 계속되는 공개사퇴 압박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정권의 공기업 기관장들이 '버티기 작전'으로 나오자 청와대에서 특단의 카드를 꺼내 들어 새 정부가 전 정권 인사들과의 단절을 본격 시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13일 "산하 기관장들 가운데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수석을 지낸 사람들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참여정부의 핵심에 서 있던 사람들과 국정을 함께 운영해나간다는 것은 좀 그렇지 않으냐"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이전 정부 사람들에게 업무보고에 참석하라는 것은 자칫 '앞으로도 국정을 같이 운영해가자'는 것으로 잘못 비칠 수 있다"고 말한 뒤 "어차피 같이 국정을 운영해나갈 사람이 아니라면 업무보고에 배석시키는 것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청와대도 관련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안다"며 참여정부 출신 핵심 기관장들의 '업무보고 배제 방침'을 내비쳤다. 실제 청와대는 14일 문화관광체육부 업무보고 때 오지철 한국관광공사 사장과 정순균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 등은 참석하지 말도록 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문화부 업무보고 참석자 명단에는 오 사장과 정 사장 등 전 정권 출신 인사의 상당수가 포함돼 있었으나 청와대가 스크린 과정에서 배제하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부 차관을 지낸 오 사장은 지난 2007년 11월 임명돼 2010년 11월에 임기를 마치며 국정홍보처장을 지낸 정 사장은 2006년 5월 임명돼 2009년 5월까지 재직할 수 있다. 유인촌 문화부 장관은 전날 "이전 정권의 정치색을 가진 문화예술계 단체장들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자연스럽다"며 옛 정권 인사들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새 정부는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ㆍ보건복지가족부 등 다른 부처 업무보고 때도 마찬가지로 참여정부 출신 기관장들의 업무보고 참석을 불허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유종필 통합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한나라당이 공천 탈락자 고용지원센터로 전락하고 있다"며 "총선 전략용 색깔론이자 공천 탈락자를 위한 자리 마련용"이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