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11월16일] FRB


[오늘의 경제소사/11월16일] FRB 권홍우 1914년 11월16일 미국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이 문을 열었다. 개점장소는 뉴욕과 보스턴ㆍ시카고 등 12개 주요 도시. 최초의 중앙은행인 스웨덴 릭스방크보다 설립이 246년이나 늦었다. 신생국가라지만 미국은 왜 20세기에야 중앙은행 제도를 받아들였을까. 자유방임 경제를 중시하는 지역분권주의 때문이다. 따지고 보면 1914년의 연준은 세번째 중앙은행. 연방파가 득세한 시기인 1791년 합중국은행, 1816년 제2합중국은행을 출범시켰지만 모두 한시법에 명시된 20년의 존속기한을 연장시키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모든 시민이 화폐를 발행하거나 은행을 세울 수 있다’는 권리의식이 중앙은행의 존재를 거부한 것이다. ‘마구 설립된 은행과 이발사ㆍ바텐더가 경쟁하는 시스템’은 그런 대로 굴러갔다. 누구나 찍어내는 돈으로 중소기업과 개척민들이 설비와 가축ㆍ농기구를 사고파는 가운데 경제규모도 커졌다. 문제는 공황의 주기적 반복. 1873년ㆍ1893년ㆍ1907년 금융위기가 발생하고 갈수록 주기도 짧아지자 더 이상 중앙은행 설립을 미룰 수 없다는 공감대가 퍼졌다. 결정적으로 자본가인 모건(J P Morgan) 혼자서 1907년 위기를 수습했다는 점과 1890년 영국의 베어링 금융위기가 잉글랜드은행의 기민한 대처로 극복됐다는 점이 연준 설립론에 힘을 보탰다. 곡절 끝에 설립된 연준도 처음에는 힘이 크지 않았다. 12개 지역연준은 단순한 지점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인 중앙은행처럼 행세했다. 권한이 워싱턴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 Board)로 집중된 것은 세계 대공황을 겪고 난 다음부터다. ‘나중된 자로서 먼저될 자 많다’고 했던가. 오늘날 FRB는 세계경제를 쥐락펴락한다. 입력시간 : 2006/11/15 17:2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