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가증권시장 주도주는 중형주"

코스닥은 소형주 강세현상 지속

올들어 세계 주요 증시에서 소형주의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중형주가 주도주로 자리매김 한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코스닥시장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여전히 소형주 강세 현상이 이어지는모습이다. 16일 증권선물거래소가 내놓은 `주요국의 기업 규모별 주가흐름 분석' 자료에따르면 올들어 지난 12일까지 주요국 증시에서는 소형주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중이다. 미국의 경우 대형주와 중형주가 각각 3.22%, 4.66%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소형주는 5.1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에서도 소형주가 3.12% 올라 대형주(2.07%)와 중형주(1.33%)를 압도하고 있으며 일본증시 역시 소형주 3.47%, 중형주 2.66%, 대형주 1.41%의 상승률로 소형주가 장세를 선도하고 있다. 한국 증시에서는 지난해와는 다소 다른 흐름이 전개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의경우 중형주(시가총액 101위∼300위)가 올들어 3.83%의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대형주(상위 100위.1.34%)는 물론 소형주(301위 이하. 2.09%)를 앞질렀다. 반면 코스닥시장에서는 소형주(401위 이하. 6.46%)가 대형주(상위 100위. 6.01%)와 중형주(101∼400위. 5.63%)보다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의 대.중.소형주별 상승률은 소형주가 127.5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중형주 90.41%, 대형주 52.63%를 각각 기록했다. 또 코스닥시장에서도 소형주 169.31%, 중형주 106.04%, 대형주 62.61%의 순서였다. 한편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대.중.소형주 지수별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모두 소형주 지수가 변동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지난 5년간 소형주 지수가 평균 1.26%의 변동성을 나타낸 반면 대형주와 중형주 지수는 1.69%, 1.44%로 소형주보다 높았다. 코스닥시장에서도 대형주와 중형주 지수가 1.81%, 1.65%인 반면 소형주 지수는1.40%에 그쳤다. 거래소 관계자는 "지수 변동성은 지수의 하루 등락률의 폭을 의미한다"면서 "이번 통계치는 소형주의 위험성이 크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뒤엎는 결과"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