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개인중심 엔화예금 급증, 은행 외화예금 크게 증가

저금리시대 절세상품으로 각광‥외화대출은 경기부진 따른 수요감소로 둔화

올들어 엔화예금을 중심으로 외화예금이 크게 늘고 있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상반기중 외국환은행의 외화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거주자 외화예금 잔액은 214억5천만달러로 작년말의 155억달러에 비해 38.4% 늘었다. 특히 이 가운데 일본엔화 예금은 51억9천만달러로 작년말 대비 88.1%나 급증했으며 수출 호조속에 미국달러 예금도 140억6천만달러로 24.4% 증가했다. 엔화예금이 유난히 급증한 것은 원화를 엔화로 교환해 예금한 후 만기에 다시원화로 전환할 경우 엔화예금금리와 스왑레이트를 합친 수익률이 원화 정기예금보다0.5-1.0%포인트 정도 유리한 점을 활용한 이른바 `엔 데포 스왑(Yen Depo Swap)'이성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원/엔 스왑을 이용한 엔화예금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금리차에 따라 발생하는 스왑레이트 해당분에 이자소득세가 부과되지 않는 점을 이용한 합법적 절세상품으로최근 은행들이 프라이빗뱅킹(PB) 창구를 통해 이러한 엔화예금을 적극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금주체별로는 개인이 6월말 현재 70억3천만달러의 외화예금을 보유, 작년말보다 56.9%나 급증했으며 기업은 140억달러로 29.7% 늘었다. 개인 외화예금의 급증으로 전체 거주자 외화예금 가운데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말 28.9%에서 올해 6월말에는 32.8%로 높아졌다. 외국환은행의 외화대출 잔액은 6월말 기준으로 195억1천만달러로 지난해말보다6.5% 늘어 전년동기 증가율 19.3%에 비해서는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다. 외화대출잔액 증가세가 주춤한 것은 경기부진으로 자금 수요자체가 감소한데다원/엔화 환율변동성의 확대로 환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