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근로소득 증가율 환란후 최저 '소득격차 최대'

분기단위로는 작년 4.4분기에 소득·분배 개선

도시 근로자가구의 근로소득 증가율이 외환위기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도시 근로자가구간의 소득격차도 99년 이후 최대 수준으로 커졌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05년 4.4분기 및 연간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도시근로자가구의 명목소득은 작년에 월 평균 325만800원으로 전년의 311만3천400원보다 4.4% 늘어났다. 물가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증가율은 1.7%로 계산됐다. 도시근로자가구의 명목소득 증가율 4.4%는 지난 99년의 4.3%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명목소득 증가율은 2000년 7.3%, 2001년 10.0%, 2002년 6.4%, 2003년 5.3%, 2004년 5.9% 등이었다. 또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득 가운데 사업.재산.이전소득을 제외한 근로소득은 작년에 월 평균 280만1천900원으로 전년의 272만8천100원보다 2.7% 늘어났다. 이 증가율은 외환위기 당시인 98년의 -6.4%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근로소득 증가율은 99년 3.2%에서 2000년 7.2%로 올라간 뒤 2001년 10.1%, 2002년 7.7%, 2003년 9.0%, 2004년 5.2% 등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했었다. 근로소득이 충분하지 않다 보니 가구원이 자영업 또는 부업을 하는 등 다른 돈벌이에 나서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월평균 사업소득은 작년에 15.0%나 늘어난 11만3천700원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도시근로자가구를 소득순위별로 20%씩 5개분위로 나눴을 때 소득이가장 많은 5분위를 가장 적은 1분위로 나눈 배율은 작년에 5.43으로 99년의 5.49이후 가장 높았다. 소득배율은 2000년 5.32, 2001년 5.36, 2002년 5.18 등으로 내려오는 흐름을 보이다 2003년 5.22, 2004년 5.41 등에 이어 작년에는 더욱 올라갔다. 소득증가율 둔화와 분배구조 악화의 영향으로 작년에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비지출은 월 평균 212만6천400원으로 전년의 204만3천700원보다 4.0%가 늘어나 전년의증가율인 6.7%에 비해 둔화됐다. 최연옥 통계청 고용복지통계과장은 "연간 단위가 아닌 분기 단위로 보면, 작년4.4분기의 소득과 분배구조는 개선됐다"고 말했다. 작년 4.4분기중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329만1천700원으로 전년 같은분기의 313만7천300원보다 4.9%가 늘어나 지난 2.4분기의 4.7%, 3.4분기의 3.0%에비해 높아졌다. 또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비지출은 월 평균 211만500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의 201만3천900원보다 4.8%가 늘어나 작년 1.4분기 4.5%, 2.4분기 2.9%, 3.4분기 4.0%보다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