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철도노사 갈등 2R

노조 "직위해제 고수 땐 재파업도 불사" <br>사측선 "방침 불변" 입장 속 대응 고심

지난 4일 철도노조의 파업중단 및 업무복귀 선언 이후에도 대량 직위해제를 둘러싸고 철도공사의 노사 갈등이 재연되고 있다. 철도노조는 7일 공사의 무리한 직위해제로 인해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어려워 일부 지회를 중심으로 작업거부에 나섰다고 밝혔다. 노조는 공사가 무리한 직위해제 방침을 고수할 경우 재파업도 불사하겠다는 태세여서 일단락됐던 철도 파업이 다시 불거질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철도노조에 따르면 이날부터 서울차량지회가 전면 작업거부에 들어갔으며 직위해제자들을 중심으로 천막농성이 시작됐다. 노조측은 조합원 10명 가운데 1명꼴로 직위해제를 당해 지역에 따라 기관사 대체인력이 투입되는 한편 무리한 맞교대 근무로 열차 정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파행 운영이 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철도노조는 6일 긴급 중앙간부회의를 열어 대량징계가 노조 무력화 기도라고 간주, 정면 대응방침을 결정했다. 노조는 8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투쟁계획을 밝힐 계획이다. 조상수 철도노조 대변인은 “일부 지역의 경우 역무ㆍ차량 분야의 근무조 전체가 직위해제돼 차량정비 및 역사근무가 불가능한 실정”이라며 “15일로 예정된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 이전에 대규모 집회를 여는 등 투쟁수위를 높여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같은 노조움직임에 대해 공사측은 현재로선 직위해제 방침 고수에 변화가 없다면서도 내심 고심하는 눈치다. 철도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선 2,244명에 대한 직위해제 방침에 변화는 없다”면서도 “구체적인 징계절차는 현실적인 여건과 철도운행 상황 등을 보고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은 노사 모두 강경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철도운행 정상화를 위해 서로가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라며 “징계조치를 둘러싸고 고심을 하고 있다”고 답답한 속내를 내비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