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중, 勞에 임금피크제 제안

대형 제조업체론 처음… 확산 여부 관심

현대중, 勞에 임금피크제 제안 대형 제조업체론 처음… 확산 여부 관심 • 초대형 사업장 시도… 파급력 클 듯 현대중공업이 국내 대형 제조업체 중 처음으로 사무직과 생산직을 포함한 전 임직원에 대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노조측에 임금피크 문제를 공식 제안했다. 지금까지는 공공 부문과 일부 금융권에서 이 제도를 도입하거나 검토해왔으며 대형 제조업체 사업장 중 전직원에 대한 임금피크제를 추진하는 곳은 현대중공업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올 임단협에서 임금피크제가 다른 대형 제조업체로 확산될지 여부가 관심의 초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20일 노조측과 가진 올 임단협 상견례에서 단체협약 제39조(정년) 조항과 관련, 회사측 개정안으로 전 임직원에 대한 임금피크제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이날 “만 51세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정년(57세)까지 고용을 보장하되 임금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방안을 이번 임단협에서 논의할 것”을 노조에 제안했다. 회사측의 제안은 ▦만 51~54세까지는 만 50세 임금수준으로 고정 ▦55세는 50세 임금의 90% ▦56세는 80% ▦57세는 70%를 지급하고 만 51세 이후 1년 단위로 퇴직금 중간정산을 허용하는 내용이다. 회사측은 또 정년퇴직 이후 필요할 때 재고용하고 조합원 자녀의 취업을 위해 적극 노력하며 세부 시행방안은 실무협의를 통해 결정할 것을 제안했다. 현대중공업의 한 관계자는 “회사 근로자들의 평균연령이 45세에 이르는 등 고령화가 심화하고 있는데다 장기근속에 따른 인건비 부담과 생산성 저하 등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이 절실한 실정”이라며 “인건비 부담이 줄어들면 비용절감을 통한 신규고용 창출의 여지가 많아 긍극적으로 고용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노조측은 “회사가 조합원 자녀 취업보장이라는 단순한 논리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제안한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일단 거부 입장을 밝혔다. 울산=곽경호기자 kkh1108@sed.co.kr 입력시간 : 2004-05-20 17:3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