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차 '사재환원에 역풍불까' 곤혹

"솔직히 오해를 받을까봐 신중을 기했습니다. 하지만 경영권 승계와 관련된 의혹을 깨끗이 해소하자는 차원에서 발표했습니다" 19일 1조원에 달하는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사장의 글로비스 지분을 조건없이사회에 환원한다고 발표한 현대차그룹 이전갑 부회장은 최근 '사건 무마용 사회환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여론을 인식하고 있음을 이같이 밝혔다. 최근 삼성그룹과 론스타 등 물의를 빚은 국내외 기업들이 거액의 사회환원을 잇따라 약속하면서 사회 일각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진정한 반성에서가 아닌 당장의 위기를 모연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것이다. 현대차그룹도 이 같은 분위기를 모르는 바가 아니어서 발표에 적잖게 고민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런 오해를 감수하고라도 오너 부자의 검찰 수사에 앞서 경영권 승계및 비자금 조성과 관련한 논란의 핵심이자 근원인 글로비스 문제를 깨끗이 해결하자는 차원에서 발표를 강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발표 이후 반응은 엇갈린다. 경제단체들은 "어려운 결정이며 회사가 조속히 정상화되길 바란다"고 환영의 뜻을 표했지만 일부 시민단체와 노조에서는 반대 기류가 강하다. 현대차 노조 관계자는 "미봉책이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사내 문제에 먼저신경을 써야한다"고 말했다. 권오승 공정거래위원장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에 대해 "돈을 내서 여론을 무마하는 것은 전근대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총수 부자가 사법처리 위기에 놓여 있는 그룹의 사회공헌방안에 대해 어느 국민이 진정성을 인정하겠느냐"면서 속내를 털어놨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같은 일부 부정적 여론에 대해 선의를 이해해달라며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글로비스 지분의 사회 환원은 그룹의 환부를 도려내야 한다는생각에서 독자적으로 결정한 것"이라며 "사회적 분위기나 검찰에 선처를 구하기 위한 차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