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청와대 "3D 영화 통해 1인 창조기업 5만개로 확대"

진동섭 청와대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은 4일 발간한 청와대정책소식지를 통해 “3D(가상현실) 영화 등 콘텐츠 산업의 시장창출을 지원해 3년 후 1인 창조기업을 5만개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진 비서관은 “작은 아이디어가 콘텐츠 상품으로 발전하도록 창업과 마케팅을 지원하는 콘텐츠 벤처 스튜디오를 설치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현재 전국의 1인 창조기업은 3만 7,000개다. 그는 또 중소콘텐츠기업의 경우 자금력이 달려 투자가 어려운 점을 감안해 이들 수요자인 대기업과 정부가 공동으로 콘텐츠 개발에 참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기업과 정부가 향후 3년간 5,000억 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올해 영화에 적용하는 컴퓨터 그래픽(CG)의 해외 수출을 5건(1,000억원 상당) 목표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5년간 60건을 수주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가상 현실(3D) 콘텐츠 제작지원을 통해 지난해 8,000억원 규모인 시장을 1조 2,000억으로 육성하겠다”면서 “우수한 콘텐츠의 경우 제작비의 절반을 정부가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밖에 콘텐츠 개발에 적용할 기술 개발 투자를 신성장 동력 산업에 포함해, 세액 공제 비율(중소기업25%→30%, 대기업 3~6%→20%)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진 비서관은 이 밖에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강화할 뜻을 밝혔다. 불법 복제물 유통 온라인서비스제공자(웹하드 등), 상습복제 전송자(헤비 업로더)에 대한 기획수사를 강화하고 범죄수익금 몰수로 유통을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동시에 저작권자와 유통사업자를 매개하는 ‘디지털 저작권거래소’를 통해 저작물의 합법적인 거래를 확대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