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FRB, 추가 경기부양에 이견 지속

대규모 국채 매입 등 추가 경기부양책을 둘러싸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내부에서도 여전히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날 “FRB 내부 관계자들 사이에 얼마큼 경기전망이 취약해질 때 부양조치를 가동해야 하는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며 “오는 21일 열리는 회의에서 새로운 조치가 결정되기 어려울 것”이라 전망했다. 신문에 따르면 경기 부양에 비판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성장률 수치가 예상했던 수준으로 나오고 물가상승률이 1∼2% 사이에서 유지된다면 추가 경기부양책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토머스 호니그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의 총재와 필라델피아 찰스 플로서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이런 견해에 동조하고 있다. 반면 연준 부의장 지명자인 재닛 옐런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채권 매입 조치를 지지하고 있다. 지난달 9.6%를 기록한 실업률이 이미 연준의 장기 목표인 5∼6%를 크게 웃돌고 있고 물가상승률은 1.5∼2% 이하에서 억제되고 있기 때문에 경기 부양에 나설 이유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같이 FRB 내부의 견해 차가 지속되고 있는 까닭은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가 혼조 양상을 보이면서 현 경기 상황을 둘러싸고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판단과 전망이 계속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WSJ는 “11월 2∼3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중요한 결정 시점이 될 수 있다”며 “FRB의 공식 경기전망이 하향 조정된다면 이는 연준이 행동에 나서야 하는 압력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FRB는 지난해부터 올해 3월 말까지 대규모 채권매입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금리의 하향 안정화를 유도해 왔으며, 최근 경기 회복세가 부진해지자 연준이 다시 채권매입 등의 경기부양 조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