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의 도시를 바꾸자] `친환경+행정수도` 두토끼 잡기, 해외사례 면밀 검토해야

정부는 신행정수도를 건설하면서 친환경도시를 만들겠다는 의욕을 갖고 있다. 행정수도로서의 상징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쾌적한 환경도시로 건설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행정수도를 이전한 해외 사례를 면밀히 검토해야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미 수도이전을 마친 브라질, 호주 등은 친환경 행정수도를 건설한 나라로 꼽힌다. 신행정수도건설 기획단이 이들 도시를 포함 한 6개국 방문 결과, 내륙개발을 통해 국가의 균형발전 측면에서는 큰 효과를 발휘했던 브라질의 수도 브라질리아는 도시는 대중교통수단 부족, 주변 난개발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세계에서 하나뿐인 전원속의 도시 캔버라는 이와 반대다. 7개 도시 섹타를 녹지로 구분, 연담화를 방지하고 녹색수도를 건설했다. 하지만 도시경관 등은 아름답지만 주민생활환경이 불편하고 도시활력이 부족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다. 신행정수도건설지원단 이수욱 박사는 “해외 사례를 평가한 결과 친환경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토지투기 및 난개발방지대책은 물론 광역적, 장기적인 도시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했다”며 “특히 환경성만을 강조, 지나치게 도시경관만을 신경 쓸 경우 주민편의 저하에 따른 도시활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결국 신행정수도는 인간중심의 친환경도시로 만들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자동차를 위한 도시, 브라질리아= 지난 19세기 말부터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진행, 46년 헌법규정, 56년 법률제정, 60년 신수도 완성식을 거쳐 70년 행정수도 이전을 마쳤다. 수도이전에만 100년 가까이 걸린 셈이다. 50만명 규모의 도시로 건설 된 브라질리아는 수도가 지닌 상징성을 극대화 한 게 특징이다.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야심찬 계획도시로 건설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이에 따른 문제점도 많다. 세계 문화유산으로 꼽힐 만큼 스케일이 큰 건축물, 도로망 등은 결국 자동차와 에어컨을 위한 도시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다. 이는 아파트 위주의 획일적인 주거공간, 자동차 위주의 교통계획으로 인해 주민의 생활편리성과 쾌적한 공간제공은 부족하다는 것. 결국 상징성에 지나치게 집중하면서 인간과 자연 중심의 행정수도와는 다소 동떨어진 도시로 개발됐다는 시사점을 줬다는 게 현지 조사단의 평가다. ◇도시활력 부족, 캔버라= 호주 역시 행정수도 이전은 한 세기 가까이 걸렸다. 1901년 연방국가가 성립된 호주는 행정수도 이전 논의를 진행, 1908년에 법제정, 이전결정을 한 이후 88년에야 의사당을 완성해 이전을 완료했다. 캔버라는 세계속에서 하나뿐인 전원도시로 꼽힌다. 그만큼 경관 중심의 환경성이 가장 고려 됐다는 것이다.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던 캔버라는 건조한 초원지대였다. 조경을 위해 1,2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등 인공미를 최대한 가미한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는 많다. 웅장함과 상징성 그리고 쾌적성의 장점을 갖췄지만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에 대한 배려가 작았다는 것이다. 비행기나 헬기를 이용, 공중에서 본 캔버라는 아름답지만 도심 활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다. 중요한 국가기관들 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 보행을 통한 접근이 힘들다. 때문에 도심에 보행자를 찾아보기 힘든 게 캔버라의 현실이다. 이 같은 문제점은 결국 입지선정과정에서 정치적 입장이 지나치게 고려되면서 최종 후보지로 건조한 초원지대가 낙점돼 발생한 것이다. <한기석기자 hanks@sed.co.kr>

관련기사



한기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