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경제 大計 기업이 이끈다] 현대모비스

車 핵심 전장부품 독자 기술 중무장

현대모비스가 최근 경기도 화성의 자동차성능연구소에서 독자기술로 개발한 신기술 시연회를 열고 각종 선행 기술을 선보였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지난달 글로벌오토모티브뉴스가 발표한 세계자동차 부품업체 순위에서 12위를 차지한 현대모비스가 이달 초'10년 후 먹거리' 아이템을 발표했다. 강점 분야인 모듈제조 및 AS 부품사업을 유지하는 한편 2020년까지 IT 컨버전스 전장, 친환경 핵심부품, 모듈통합 시스템을 3대 주력사업으로 키워 명실공히 글로벌 부품업체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이와 관련 현대모비스는 지난 8일 경기도 화성 소재 자동차성능연구소에서 독자기술로 개발한 자동차 첨단 기술 시연회를 가졌다. 선보인 기술은 앞서 밝힌 3대 주력사업의 핵심아이템이라 할 수 있는 자동차 전장 및 친환경, 안전제품 등 총 9개 분야다. 대표적인 것으로 차간거리제어장치(차량 전방에 장착된 레이더 센서를 통해 적정 차간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 시스템), 차선유지도움장치(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이 차선을 이탈할 경우 위험상황을 감지해 안전하게 차량의 방향을 바꿔주는 장치) 등이다. 현대모비스는 이 중 차선유지도움장치를 양산해 해외 OEM 공략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현대모비스는'친환경 및 지능형 자동차 신성장시장'에 대비하기 위해 총 550여건에 이르는 관련 로드맵을 구축해 기술구현에 나서는 한편 R&D 연구개발비를 현재 3,500억 원에서 2015년까지 6,500억 원으로 대폭 늘려나갈 계획이다. 또 기존 R&D 센터를 선행·기초·양산 3개 연구소로 분리해 기술개발 효율 극대화를 꾀함과 동시에 연구 인력 및 장비도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핵심제품들을 성공적으로 양산해 현재 15조원인 핵심부품 및 모듈 부분 매출규모를 2020년 까지 30조원으로 끌어올린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신영철 메카선행개발 담당 전무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장부품 비율이 40%에 육박할 만큼 부품산업이 기계중심에서 친환경 전자장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며 "핵심 전장제품을 하루빨리 독자기술로 양산화 하는 한편 전사적인 R&D 역량확보에 전력을 다해 10년 후 세계 최고의 전장부품 기업으로 발돋움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R&D 개발 의지 성과로 지난해 다임러에 3,500만 달러 규모의 오디오와 9,500만 달러어치 배터리 센서, 폭스바겐에 2만 달러 상당의 램프, BMW에 8,000만달러 규모의 램프어셈블리 수주계약을 성사시킨 바 있으며 크라이슬러에도 20억 달러 어치 프런트ㆍ리어 섀시모듈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