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동대문상가 시공사 선정못해 표류

지난해 이미 분양을 끝낸 동대문 상가들이 아직까지 시공사 선정 및 부지매입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해 동대문 일대에서 분양했던 상가들이 자금 부족 등의 이유로 시공사와의 가계약이 잇따라 무산되고 있다. 또 부지매입 역시 아직 마무리 되지 못해 건축허가 신청을 낸 쇼핑몰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때문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분양 시 계획했던 착공일정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동대문 일대에서 분양된 주요 쇼핑몰은 G, F 상가 등 4곳. 이들 상가가 분양 당시 광고했던 시공사 측은 이미 가계약을 파기 했거나 사업에서 철수했다고 밝혔다. F 쇼핑몰의 시공을 담당하기로 했던 한 건설사는 “계약 당시 한달 안에 부지 매입을 완료할 것을 조건으로 가계약을 맺었으나 쇼핑몰 시행사 측이 이를 이행하지 못해 계약을 파기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패션몰은 이미 계약을 파기한 시공사를 통해 빌린 대금조차 갚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쇼핑몰 시행사는 시공사와 가계약을 맺으면서 시공사의 계열 종금사로부터 500억원을 대출 받았으나 상가 분양 중도금 납입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100억원 가량을 갚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쇼핑몰 역시 아직 새 시공사를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시공사 선정이 늦어지는 이유는 건설사들은 상가 시공을 꺼려하기 때문. 특히 이들 시행사는 부족한 사업자금을 시공사의 지금보증을 통해 조달하려 하기 때문에 건설사들이 더욱 몸을 사리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지난 해 여러 건설사들이 동대문 상가 건설사업을 타진했으나 부지매입도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에 뛰어들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커 손을 뗀 곳이 많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사업일정이 늦어지고 있어 투자자들 사이에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들 상가는 대부분 지난해 말에서 올해초로 착공 일정을 잡았으나 아직 건축허가 신청도 하지 못했다. 한 상가 투자 전문가는 “계약자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문의를 해온다”며 “제도적 안정장치 없이 상가 분양이 가능한 현행 시스템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혜진기자 hasim@sed.co.kr>

관련기사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