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산업용 섬유소재 발전 힘쓸것"

노희찬 섬산련 회장 취임… "섬유산업특별법 제정 노력"


“산업용 섬유 발전에 올인하겠습니다.” 노희찬(사진)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은 10일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취임 간담회를 갖고 “의류용 섬유는 기본으로 두되 앞으로는 산업용 섬유 소재 부문의 발전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노 회장은 “한국의 섬유산업 매출 가운데 산업용 소재의 비중은 25% 정도로 미국이나 독일 등 선진국(70%)에 비해 크게 낮다”면서 “산업용 섬유 비중을 높여 한국 섬유산업 재도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섬유산업특별법이 제정되도록 업계의 노력을 최대한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노 회장은 “대기업과 종합상사들이 섬유에서 손을 뗀 후 마케팅, 인력양성, 연구개발(R&D) 활성화 등이 어려워졌다”면서 “특별법을 통해 정부의 지원이 이뤄지면 섬유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 회장은 이어 “개성공단 271개 입주사 중 104개가 섬유업일 정도로 경협에서 섬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면서 “삼통(통행ㆍ통관ㆍ통신) 해결은 물론이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앞으로 열릴 한일ㆍ한중 FTA에 대비해 개성산 제품의 한국산 원산지 인정을 기필코 이끌어내는 데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노 회장은 대구ㆍ경북 지역에서 삼일방직ㆍ삼일염직ㆍ삼일화섬 등을 이끌며 연 800억원대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중소기업인이다. 과거에는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박성철 신원 회장 등 대기업 오너 경영인들이 섬산련 회장을 맡았으나 노 회장은 전임 경세호 ㈜가희 회장에 이어 두번째 중소기업인 출신 섬산련 회장이다. 노 회장은 “역대 회장이 기라성 같은 분들이라 부담스럽기도 하지만 중소기업인이 미래지향적인 일을 했다는 말을 듣고 퇴임하겠다”면서 “섬유 부문을 다운사이징한 대기업들이 R&D나 마케팅 부문에서 다시 일정한 역할을 해주고 중소기업들과 윈윈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를 바란다”고 뼈있는 한마디를 던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