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GM "한반도 상황 악화땐 공장 철수 할수도"

애커슨 회장 비상계획 발언<br>현실화 가능성은 높지 않아

대니얼 애커슨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이 한반도 정세불안이 악화될 경우 한국 생산기지를 이전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밝혀 파장이 일고 있다.

애커슨 회장은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 등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도발위협으로 조성된 한반도 긴장과 관련해 "회사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한국에 있는 직원들의 안전을 위한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만약 장기적으로 한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이 위험하다는 판단이 생기면 자산ㆍ직원들의 안전성을 고려해 한국 생산기지를 일시적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옮길 수도 있다"면서 "한국 공장은 GM의 세 번째로 큰 주요 생산기지로 안전성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애커슨 회장은 "한국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GM의 글로벌 생산에 중요하고 GM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근로자들의 안전을 위해 최대한의 비상계획들을 세우고 있으며 컨설턴트들로부터 조언을 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GM 한국 공장 5곳에서는 1만7,000여명의 직원들이 연간 140만대의 차량을 생산해 130만대가량을 유럽과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만약 GM이 철수할 경우 국내 중소 자동차 부품업체들에 직격탄을 날리면서 후폭풍이 클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내에 진출한 다른 외국계 기업들에도 불안감을 불러일으키는 등 심리적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외신들은 일단 애커슨 회장의 발언을 재난상황에 대비해 해외 거점을 둔 미국 기업들이 세우는 상식적인 비상계획으로 평가했다. WSJ는 GM이 한국에 있는 생산기지를 대체할 공장을 건설하려면 막대한 비용과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며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한국 공장을 철수해 대체할 공장을 건설하는 데 최소 수년, 수십억달러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되기 때문이다.

애커슨 회장 역시 "이것(비상계획)을 넘어서는 생산기지 이전은 어렵다"면서 '한국공장 철수' 시행 가능성이 높지 않음을 시사했다.

한편 애커슨 회장은 한반도의 정세 방향과 관련해 "미국 프로야구에서 올해 내셔널리그와 아메리칸리그 1위 팀을 예측하는 것과 같다"면서 "아마 워싱턴에서도 잘 모를 것"이라고 답했다.

최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