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계 비상경영 돌입

`불법 대선 자금`을 수사 중인 검찰이 정치권에 대선 자금을 지원한 기업의 자금담당 핵심 임원들을 이번 주부터 소환ㆍ조사하기로 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이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다. 이미 삼성 등 일부 기업의 관련 직원들은 참고인 자격으로 검찰에 소환돼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ㆍLGㆍ현대차ㆍ풍산ㆍ두산 등 검찰 수사선상에 오른 기업들은 소환에 대비해 관련 서류를 준비하고 대외협력팀을 중심으로 정보 수집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한편 관련자 소환으로 발생할 업무공백 최소화 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SK 사태의 진원지가 내부 직원의 제보로 의심되는 만큼 임직원들의 `입단속`과 함께 내부 비밀이 새나가지 않도록 여러 겹의 안전장치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겉으로는 “정당한 절차에 따라 법적인 한도 내에서 정치자금만 제공했기 때문에 검찰 조사에 꺼릴 게 없다”며 “검찰 조사에 당당하게 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검찰 수사에 대비해 특별한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며 “요즘은 회계 자료가 전산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장부 조작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LG 측도 “법적 한도 내에서 수증을 받고 정당 후원금을 기부했기 때문에 문제될 게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들 기업들은 검찰수사가 전면적으로 확대될 경우 예상외의 결과가 튀어나올 지 모른다고 보고 내심으로는 초조한 빛이 역력하다. 현재 공식적으로 밝혀진 대선 자금은 SK가 대선전 민주당에 25억원, 한나라당에 100억원을 전달했고 삼성ㆍLGㆍ현대차ㆍ롯데 등이 민주당에 15억~10억원을 냈다는 정도다. 이에 대해 재계 안팎에서는 이들 그룹의 정치자금이 최소한 수재의연금이나 연말불우이웃 돕기 성금 이상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지난 태풍 피해 때에도 삼성은 100억원, LG는 50억원을 기부한 바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도 “법정 한도 이상의 정치자금을 준 것이 밝혀질 경우 해당 기업은 곧바로 분식회계 파문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며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과거 불법 정치 자금에 대한 일괄 사면을 요구한 것도 이를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들은 검찰이 수사에 협조할 경우 최대한 선처하겠다고 밝힌 점을 고려, 전면적인 계좌 추적이나 사무실 압수 수색 등 최악의 사태를 피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관련 서류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형욱기자 choihuk@sed.co.kr>

관련기사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