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시대 잘못 읽은 고령층… 노후자금 소진"

■ LG경제연 보고서<br>자녀 교육비 급증하고 부동산 불패신화 깨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60~70대 이상 고령층의 지갑이 점차 닫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노후자금을 이미 상당 부분 써버린 탓이다.

고가영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3일 '노후 대비 부족한 고령층 소비할 여력이 없다'는 이름의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고령층의 소비성향(가처분소득 중 지출의 비중)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세대 간 소비성향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학적으로 청장년층은 소비가 적고 고령층은 소비가 많다. 젊을 때 돈을 벌어 자산을 모은 뒤 노후에 이를 쓰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8년 이후 한국의 60대와 70대는 각각 소비성향이 5.9%포인트, 6.8%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40~50대의 소비성향은 약 2%포인트씩 하락하는 데 그쳤다. 39세 이하는 1.6%포인트 올랐다.


이 때문에 2000년대 초반 '60세 이상>50대>40대>39세 이하' 순이었던 소비성향은 지난해 '40대>39세 이하>60대 이상>50대'로 정반대가 됐다. 고령층일수록 소비를 갈수록 줄이는 기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고 연구원은 "2000년대 이후 경제ㆍ사회적 환경이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며 고령층은 미처 변화에 대비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가 예를 든 경제·사회적 변화는 1990년대 이후 빠르게 늘어난 자녀 교육비다. 1991년 33.2%였던 대학진학률은 2008년 83.8%까지 높아졌다.

고령층이 대응하지 못한 또 다른 변화는 부동산 불패신화의 종언이다. 실제로 60대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은 2006년 2억7,0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7,000만원 감소했다.

고 연구원은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은퇴 이후 소비에 필요한 자산이 더 많이 필요해진 점과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로 노후자산의 실질가치(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가치)가 절하된 점 역시 고령층의 소비성향을 떨어뜨렸다고 평가했다.

고 연구위원은 "고령층의 미래 삶을 훼손하지 않고 소비성향을 높이려면 고령층이 일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며 "고령층 근로 확대는 노후 부담을 줄이고 동시에 공적연금, 노인복지 수요를 감소시켜 재정부담 절감, 성장률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