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2월 20일] 치킨 원가공개가 걱정스러운 이유

최근 대형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원가를 공개했다. 브랜드 치킨 가격에 거품이 끼었다는 싸늘한 여론을 되돌리기 위해 원가라는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 제친 것이다. 통상 원가공개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 입장에서 보면 자살골이나 마찬가지다. 기업의 핵심전략과 직결되는 원가를 밝힌다는 것은 흡사 자신이 들고 있는 패를 상대에게 모두 보여 주는 꼴이기 때문이다. 이런 불이익을 감수한 원가공개는 치킨업체의 위기감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하겠다. 하지만 원가의 진실 여부를 떠나 원가공개가 어떤 맥락에서 등장했고 결국 소비자들의 권익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인가는 따져볼 필요는 있다. 가깝게 보면 원가공개는 지난 2006년 부동산 광풍이 재차 불어닥쳤을 때도 주요 이슈였다. 당시 건설업체들은 아파트 분양원가를 공개하라는 여론의 압박에 "원가공개란 이윤추구가 보장된 자본주의에 칼을 꽂는 행위"라며 미동도 하지 않았다. 그때 당시와 이번 사태를 비교하면 하나의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예나 지금이나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들은 원가공개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이번에 원가를 발표한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는 롯데마트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작은 규모다. 이 시점에서 판매 가격의 적정성 여부를 가리는데 전가의 보도처럼 꺼내드는 원가 공개라는 카드가 과연 유효한 처방전인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다루지 않는 품목이 없다시피 한 롯데마트와 닭 하나에 생계를 거는 동네 치킨집의 치킨 원가를 비교해서 시시비비를 가린다는 발상은 부질없다. 역설적이게도 유통 대기업들은 원가공개가 자칫 자신들이 벌여놓은 커피 등 다른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불똥이 튈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소비자 권익을 목놓아 주장했던 쪽의 입장에서 보면 치킨 원가공개는 일종의 전리품같은성과물이었다. 하지만 원가공개가 혹여 치킨 품질을 떨어뜨리고 배달점원의 월급만 깎아먹는 결과로 이어진다면 업계와 소비자의 이익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듯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