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후계구도 정리하나" 촉각

北 "최고 인민회의 내달 7일 평양서 개최"… 한해 두차례 소집 '이례적'

북한이 우리의 정기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의 제12기 3차 회의를 오는6월7일 평양에서 개최한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이번 최고인민회의는 지난 4월9일에 이어 2개월여 만에 열리는 것이며 최고인민회의가 회기를 달리하지 않고 한 해에 두 차례 소집된 것은 1998년 '김정일 체제' 이후 12년 만에 사실상 처음이다. 이에 따라 그 배경과 논의내용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고인민회의는 2003년 각각 10기와 11기 회의로 회기를 달리해 한해 두 차례 소집된 것을 제외하고는 매년 1회 개최됐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결정을 언급하며 "결정에 의하면 최고인민회의 제12기 3차 회의를 6월7일 평양에서 소집한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통신은 최고인민회의 소집 이유와 안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김정은 후계구도 정리하나=북한이 돌연 최고인민회의를 소집한 이유에 대해 우선 추측이 가능한 점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삼남 김정은의 인사 문제다. 최고인민회의가 국방위원회 등의 인사문제를 결정하도록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참에 김 위원장이 후계구도를 정리하려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김정은에게 공식 직함을 부여하고 후속인사를 단행하기 위한 것이라는 내용이다. 특히 최근 북한이 김일철 국방위원회 위원 겸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을 '고령'을 이유로 모든 직무에서 해임한 것도 이 같은 조치를 위한 사전포석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제 법ㆍ제도 정비 가능성도 커=경제 문제에 무게가 실릴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물론 김정은에 대한 후계구도 정리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경제난 타개를 위한 북한 내 법적ㆍ제도적 장치를 급하게 손봐야 할 시기라는 것이다. 이는 이달 초 김 위원장이 방중 기간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를 만나 경제협력 문제를 논의한 만큼 후속 조치가 시급하다는 것이 그 근거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1980년 10월 6차 당대회를 개최한 지 올해가 30주년인데다 노동당 창건 65주년이기 때문에 이번 회의에서 7차 당대회 개최와 관련한 국가적 준비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다만 최고인민회의에서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내용이 논의 및 언급될지는 미지수다. 그동안 최고인민회의에서 대남정책이 발표된 전례가 없는데다 천안함 사건 연루설을 강력히 부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이를 언급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한편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소집에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통일부의 한 당국자는 이날 "과거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한 해에 두 번 개최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