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또 '자녀 악재' 징크스?… 곤혹스런 새누리

김무성 '사위 마약' 논란에 차기 총·대선 악영향 우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 마약 및 외압 논란으로 여당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자녀 악재' 징크스가 또 나타나는 것 아닌지 불안한 기색이다.

야당은 논란이 불거진 후 즉각 '흔들기'에 돌입했다. 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은 11일 안전행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금 실시간 검색어 1위가 김무성 사위"라며 "전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 권력의 '갑(甲)질'에 대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성수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김 대표 사위보다 투약 횟수가 훨씬 적은 경우에도 실형이 선고된 사례가 적잖다"고 전했다.


앞서 김 대표는 둘째 딸의 수원대 교수 채용 과정에서 외압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져 곤욕을 치른 바 있다. 그 사위까지 외압 논란이 불거지면서 사실관계를 떠나 '도덕성 흠집'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인 김 대표 본인의 타격은 물론 당 대표로서 내년 총선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다. 유력 정치인의 외압 의혹에 대한 여론의 관심이 워낙 높아 자칫 김 대표의 총선 지원이 부정적 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국민의 협조를 받아 4대 개혁 처리에 나서야 하는 청와대 입장에서도 '도덕성 흠결'은 부담스럽다.

우려 속에 새누리당은 즉각적인 엄호에 나섰다. 법조인 출신인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마약 사범은 초범일 경우 검찰 구형량이 보통 2년이기 때문에 3년은 약한 것이 아니다"라며 "구형량 반 이상이 선고되면 관례상 항소를 잘 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권 내에서는 유력 정치인들의 연이은 '자녀 악재' 징크스가 다시 회자되는 상황이다. 정몽준 전 의원은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에서 막내아들의 '국민 정서 미개' 글 때문에 눈물을 흘리며 사과했지만 낙선을 막지 못했다. 고승덕 변호사는 서울시 교육감 선거에서 선두를 달리다 장녀가 자신들을 방기했다며 장문의 글을 올리자 고꾸라졌다. 멀리 보면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아들에 대한 병역 의혹으로 대권 낙마의 아픔을 겪은 일도 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