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유해화학물질 年3만톤 배출

환경부, 2000년 실태조사 발암물질·환경호르몬 30%지난 2000년 한해동안 국내 제조업체에서 3만톤의 유해 화학물질이 배출됐으며, 이 가운데 30%는 발암물질이나 환경호르몬인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는 국내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화학물질의 배출실태를 조사한 결과 2000년 64종, 3만톤의 유해 화학물질이 대기나 하천, 토양 등으로 배출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17일 발표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64종의 화학물질 가운데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발암물질은 벤젠과 염화비닐 등 5종(2,500톤)으로 전체의 8.3%, 발암성 우려 물질은 9종(2,300톤)으로 7.6%, 발암 가능성 물질은 17종(3,400톤)으로 11.1%를 차지하는 등 전체의 27%가 암을 유발하거나 유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내분비계 장애물질도 디프탈레이트 등 5종(636톤)으로 전체의 2.1%를 차지, 인체에 치명적인 이들 유해물질의 규제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를 위해 석유정제와 화학 등 23개 업종에 종사하는 종업원 100명 이상 업체 529개사를 대상으로 벤젠 등 80종의 물질에 대해 배출량을 보고토록 한 결과 전체 배출량의 86.3%가 공단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연간 배출된 화학물질을 종류별로 보면 톨루엔(6,200톤), 자일렌(3,700톤), 아연화합물(2,600톤) 등이며 전체 배출량의 78.8%가 대기로 배출됐다. 배출량이 많은 지역은 경북과 울산, 전남 등의 순이며 공단별 배출량은 포항공단, 여천공단, 울산석유공단 등의 순이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