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말 파괴 인터넷 언어 추방을"

교육부, 교사용 지도자료집 일선학교 배포

“방가(반가워), 짱나(짜증나), 허걱(놀랍다), 헐(황당하다) 등 우리 말을 파괴하는 인터넷 언어를 추방합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사이버 공간의 언어파괴ㆍ언어폭력 현상이 도를 넘는다고 판단, 인터넷과 일상생활에서의 언어예절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사용 지도자료집 ‘인터넷 언어순화, 생활 속의 언어예절’을 발간, 일선 학교에 배포했다고 10일 밝혔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청소년들이 쓰는 인터넷 언어에 생소한 용어가 날이 갈수록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최근에는 같은 세대 안에서도 의사소통이 안돼 해석 전문 사이트까지 등장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책자에서는 인터넷상의 언어파괴 유형으로 ▦방가, 겜(게임), 짱나 등의 축약형ㆍ줄임말 ▦추카(축하), 띤구(친구) 등 소리나는 대로 적거나 된소리를 내는 것 ▦껌이냐(무시하냐) 등 은어 ▦음야(지루하고 졸리다), 헐 등 의성ㆍ의태어 ▦‘읍ㅎ℉를 ㅁ|てつ효_∩∇∩★’(오빠를 믿어요) 등 한글과 이상한 문자를 쓰는 외계어 등으로 구분했다. 책자는 인터넷 언어가 다양한 감정표현이 가능하고 개성적이고 창의적이며 빠른 속도에 적응할 수 있는 긍정적 기능이 있지만 청소년의 문법과 국어 실력을 저하시키고 세대간 단절과 의사소통 혼란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를 바로잡기 위한 인터넷 언어 5계명으로 ▦가능한 한 문법을 지키자 ▦인터넷 언어는 사이버 공간에서만 쓰자 ▦외계어는 삼가고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하자 ▦문법을 파괴하지 않는 용어를 쓰자 ▦채팅에는 이모티콘을 적절히 사용하자 등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