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스포츠산업 일자리 4만개 창출

문체부, 중장기 발전계획 발표<br>스포츠 전문기업 100개 육성

 앞으로 5년간 스포츠산업 활성화로 일자리 4만개를 늘리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이를 통해 스포츠 전문기업 100개도 육성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포츠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스포츠산업에 첨단 정보기술(IT)과 과학기술을 접목, 관련 산업을 현재 37조원에서 53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일자리는 23만명에서 27만명으로 늘린다는 게 골자다.


 문체부는 스포츠산업을 통한 미래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4대 추진 전략으로 △융·복합형 미래 스포츠시장 창출 △스포츠 참여 관람 촉진으로 잠재 수요 확대 △스포츠산업 선도 기업 육성 △스포츠산업 선순환 생태계 기반 조성을 내세웠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김종 문체부 제2차관은 "국내 스포츠산업은 연평균 11.9%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지만 글로벌 스포츠 기업들이 국내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IT 인프라와 관련 기업의 노하우를 스포츠의 여러 분야에 적용시켜 신시장 선도형 구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융·복합형 미래 스포츠시장 창출에 관해서는 국민 개개인이 스마트폰·태블릿PC 등 IT 기기를 활용해 자신의 운동 내용과 열량 소모량 등 스포츠 활동 정보를 관리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스포츠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스크린골프와 마찬가지로 야구·축구·사이클 등 10대 스포츠의 가상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 스키장 등 지역 특화 레저·관광 복합스포츠를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성장 가능성이 큰 유망 스포츠 기업을 2018년까지 매년 20개씩 발굴해 육성한다는 계획도 눈길을 끈다. 관련 기업은 금융권으로부터 융자 지원도 받을 수 있게 된다. 스포츠 전문 기업의 창업을 적극적으로 돕는 한편 민간 투자도 활성화해 스포츠 이벤트 유치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모태 펀드와 크라우드 펀드 도입도 추진한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문체부는 스포츠 시장의 수요·공급 간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스포츠산업 진흥 정책을 총괄할 '스포츠산업과'를 신설한다. 여기서는 스포츠산업 일자리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미래 시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융·복합 전문 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이번 계획을 위해 2,740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