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차 비자금 용처 수사, 정치권 겨냥?

대선, 지방선거 용처 확인될 경우 정치권 쓰나미급 파괴력<br> 노조 격려금 확인 땐 재계ㆍ노동계 모두 영향권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구속으로 당장 현대차그룹이 조성한 1,00억원대 규모의 비자금 용처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까지 검찰 수사에서 확인된 비자금 규모만 총 1,300억원이다. 더구나 돈이 쓰인 시기가 지난 2002년 대선과 지방선거 등을 전후로 집중돼 있어 검찰 수사결과에 따라 쓰나미급 파괴력으로 정치권을 뒤흔들 전망이다. 검찰은 수사를 통해 정 회장의 직접 지시로 1,300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비자금이 2001년 초부터 집중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동원된 계열사는 모두 6곳으로 현대차 본사와 기아차 및 글로비스, 현대모비스 등이 포함돼 있다. 이 중 지난 2002년에 조성된 480억원 가운데 200억원이 당시 대선을 앞둔 하반기에 집중적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 같은 해 6월 지방선거를 전후해서도 상당한 액수가 지출됐다. 이에 따라 검찰은 수백억원대 비자금이 당시 정치권에 뭉칫돈으로 흘러갔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정관계 로비의혹을 캐는데 수사력을 집중할 전망이다. 그간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도 다음주부터 현대차 비자금의 용처를 수사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굳은 수사의지를 표명해왔다. 검찰은 이미 2003년 대선자금 비리 수사를 통해 김동진 현대차 총괄부회장을 정치자금법 위반 및 횡령혐의로 불구속 기소하고 정 회장은 불입건 처리한 전례가 있다. 아울러 검찰은 정치권 로비자금 이 외에도 비자금 일부가 정 회장 일가의 호주머니 속으로 들어갔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현대차측은 “비자금 대부분이 회사 경영을 위해 집행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상당 규모의 비자금이 격려비, 회식비 등 노조 격려금으로 쓰였다고 진술, 검찰 수사의 칼끝이 현대차 노조로까지 겨냥할 경우 정치권은 물론 재계와 노동계 모두에게 메가톤급 후폭풍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