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헛다리 짚은 지방공항 살리기

착륙료 할인 등 온갖 지원책 내놓지만 항공·여행사엔 큰 도움 안돼 효과 미미<br>"볼거리 등 관광수요 창출이 먼저" 지적


"비행기를 타려는 사람이 없는데 착륙료나 주차료를 깎아준다고 외국인 여행객이나 항공사가 지방공항으로 가겠습니까. 볼거리만 있으면 비용이 좀 비싸도 관광객이 찾아오게 돼 있습니다."

영세한 지방공항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한국공항공사와 지방자치단체들이 갖가지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항공사나 여행사에게 지원금을 주는 지원책이 큰 인센티브로 느껴지지 않아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현재 지방국제공항에 대한 지자체 지원 상황을 살펴보면 강원도는 2002년 양양공항이 개항한 후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예산 지원을 해왔다. 내용은 항공사가 양양공항에 들어오도록 운항장려금을 주고 100만원가량의 공항시설사용료도 1년간 100% 면제해주는 것이다. 여행상품을 만들어 여행객을 끌어오는 여행사에도 여행객 1인당 1만원씩 모객인센티브를 지원한다. 예산은 2011년 6억원 정도가 소요됐고 지난해 12억원, 올해는 18억원이 책정됐다.

청주시는 청주공항의 개항 이래 16년간 공항활성화를 위해 연간 20억원 안팎의 예산을 투입해왔다. 항공사가 신규 노선을 유치했을 때 손해가 날 경우 50%를 지원해주고 국제선 이용객 주차료 50% 지원, 외국인 출국납부금 1만원 지원 등이다.

한국공항공사도 비슷하다. 공항공사는 18일부터 내년 1월12일까지 8주간 김포공항에서 김해와 울산ㆍ포항ㆍ여수ㆍ사천 노선을 이용하는 이용승객에 항공권 할인혜택과 주차요금 면제혜택을 제공하는 할인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예산 6억원을 투입해 항공사에 받는 착륙료를 깎아주고 그 금액만큼 항공권 가격을 내리는 구조다. 공항공사는 이번 행사의 효과를 보고 1년 내내 상시 할인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할인을 할 경우 연간 최대 약 39억원이 필요한 사업이다.

문제는 수십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데도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이다. 지난달 1일 저가패키지 여행상품이나 강제쇼핑 등의 옵션을 전면 금지한 중국의 여유법(旅遊法)이 시행된 지 한 달 만에 전국 7개 국제공항 중 4곳에서 국제선 여객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에 따르면 제주공항은 9월 17만8,824명에서 10월 12만7,182명으로 5만명이 줄었고 같은 기간 청주공항도 2만2,175명에서 1만4,980명으로 떨어졌다. 양양공항은 2,797명에서 1,701명으로 줄었고 무안공항 역시 1만45명에서 8,637명으로 뚝 떨어졌다.


공항공사의 할인행사는 역효과를 냈다. 올해 초 1월부터 3월까지 6억원을 투입해 진행한 2차 할인에서 여객이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15% 넘게 줄어든 것이다.

관련기사



단순한 비용지원이 효과를 보지 못하는 이유는 이 같은 지원이 여행객이나 항공사에 실질적인 이익이 없기 때문이다.

윤문길 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지자체나 공항공사가 항공사 또는 여행사를 지원하더라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1인당 1만~2만원에 불과하다"며 "이는 여행객을 끌어들이기에는 가격 메리트가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항공사 입장에서도 여객 자체가 없는 상태에서 일부 금액 지원을 받는 것은 큰 인센티브가 아니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주기료나 착륙료 면제가 항공사에 도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방공항에 승객이 없어 수익창출이 거의 안 되는 상황에서 그런 유인책은 크게 매력이 없다"며 "인센티브보다는 국가 정책 방향이나 지자체의 강력한 요구로 항공기를 운항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윤 교수는 "지자체들의 지방공항 지원책이 주로 항공사 취항료 지원 등의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일시적으로는 항공사가 마지못해 들어오겠지만 결국은 그 지역으로 오려는 관광수요를 창출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는 "공항 착륙료나 주기료가 아무리 비싸도 볼거리만 있다면 관광객들은 찾아온다"며 "어차피 여행객에는 별 이득이 돌아가지도 않는 항공사 취항료에 예산을 낭비하지 말고 지역 관광 기반사업에 투자하는 것이 지자체가 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