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6일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이 전날 결렬된 것과 관련해 “재발방지 보장과 공단의 발전적인 정상화가 정부의 입장이고 분명한 원칙”이라며 “그것은 국민 모두가 공감하는 상식일 것”이라고 밝혔다. 개성공단 운영 중단 사태의 재발 방지 보장 등은 그 동안 정부가 지속적으로 유지했던 원칙으로, 회담이 결렬됐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기존 원칙에는 변함이 없음을 다시 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 고위 관계자 또한 “전날 통일부가 ‘북한이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면 정부는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다’고 했는데 이는 개성공단 가동 중단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봐야 한다”며 “혹 양측이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는다 하더라도 개성공단이 재가동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개성공단을 완전히 폐쇄하는 쪽으로 간다면 우리로서도 완전폐쇄를 감수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인 것”이라며 개성공단 폐쇄가 현실화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정치적 부담 때문에 어느 쪽이든 개성공단 폐쇄를 먼저 주장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정부가 대화를 통한 개성공단 사태 해결을 원하는 상황에서 우리가 먼저 개성공단 폐쇄를 선언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중대결심은 완전폐쇄까지도 할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로 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북한은 오히려 우리측 탓을 하며 개성공단 가동 중단 책임을 떠넘기고 나섰다. 북한 조선 중앙통신은 이날 "남측은 개성공업지구 정상화 회담을 파탄의 위기에 몰아넣음으로써 초래될 모든 후과의 책임에서 절대로 벗어날 수 없다”며 우리측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