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상증자 청약자금 대출 급증세

한 동안 자취를 감췄던 유상증자 관련 청약자금 대출이 올 들어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유상증자 물량이 쏟아져 주가 하락으로 연결될 경우 투자자들이 대출금을 고스란히 까먹을 수도 있어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청약자금 대출 규모는 6,057억1,8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11억1,900만원)에 비해 무려 600배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증권사별로는 교보증권이 5,385억2,600만원으로 90% 가까이 차지했고, 한양증권이 나머지 671억9,200만원을 투자자들에게 빌려줬다. 주식 관련 청약자금 대출은 일반공모 유상증자나 실권주에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이 자금을 빌리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문제는 청약자금 대출이 투자자들에게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대규모 유상증자가 이뤄진 후 시장에 쏟아져 나와 주가가 급락할 경우 돈을 빌렸던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이 손해를 줄이기 위해 해당 종목을 팔 경우 더 큰 주가 하락을 가져와 자칫 대출 원금을 못갚을 수도 있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형증권사들은 투자자 위험이나 자사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청약자금 대출을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일반공모 유상증자나 실권주 청약과 관련된 경우에도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투자자 리스크가 높아지고, 증권사 입장에서도 자금 회수에 위험이 있어 되도록이면 청약자금 대출을 하지 않는 편”이라며 “투자 위험은 생각하지도 않은 채 이자 등 수수료 챙기기에만 몰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