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주택보급률이 90%에도 미치지 못해 주택난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건설교통부가 지난해 인구주택 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시도별 주택보급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의 주택 수는 232만1,900채로 총 가구 수 258만7,500가구 대비 주택보급률이 89.7%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 2000년의 보급률 77.4%(197만3,200채, 254만8,100가구)에 비해서는 8.9%포인트 높아진 것이나 주택보급률 적정선(120~130%)에는 크게 못 미쳐 당분간 서울의 주택부족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보통가구(혈연가구) 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한 수치다. 주택 수는 다가구를 1주택으로 계산하고 빈집을 포함해 산정된다. 보통가구는 총 가구에서 1인, 비혈연, 외국인, 집단거주 등의 가구를 뺀 것이다. 경기도 역시 주택이 273만6,200채로 가구 수 271만5,700가구를 조금 넘는 정도(100.8%)여서 그간 용인ㆍ파주ㆍ하남ㆍ화성 등 곳곳에서의 택지개발 사업에도 불구하고 적정 수준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107.6%)을 포함한 수도권 주택보급률은 96.8%(578만1,800채, 597만5,700가구)를 기록, 5년 전(86.1%)보다 10.7%포인트 늘었지만 여전히 100%를 넘지는 못했다. 이외에 주택보급률이 낮은 곳은 대구(92.5%), 울산(99.7%), 부산(101.4%), 대전(102%), 광주(103.2%) 등 대도시권이었다.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으로 135.5%에 달했으며 충남(129.1%), 강원(126.8%), 경북(126%), 전북(125.5%), 충북(119.8%), 경남(115.8%), 제주(111.1%) 등도 적정선을 넘거나 육박했다. 건교부의 한 관계자는 “보급률 통계에는 최근 크게 늘고 있는 1인 가구, 외국인 가구 등이 빠져 있고 다가구 주택을 정상주택에서 제외하는 등 다소 현실성이 떨어져 통계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새로운 통계방법을 연내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