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삼화저축 로비 의혹' 공성진·임종석 계좌추적

김종창 소환 시기 놓고는 고심 중

검찰이 저축은행에서 금품을 받은 정황이 드러난 공성진(58) 한나라당 의원과 임종석(45) 전 열린우리당 의원 계좌추적에 나섰다. 로비 몸통 규명을 위해 현직 국회의원 등 정치인을 대상으로 한 비자금 흐름 규명에 검찰이 본격적으로 나선 모습이다. 삼화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이석환 부장검사)는 신삼길(53∙구속기소)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에게서 억대 금품을 받은 의혹이 있는 공 의원과 임 전 의원의 계좌를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8일 알려졌다. 검찰은 금품 수수 창구로 활용된 혐의가 있는 공 의원의 여동생과 임 전 의원의 보좌관 K씨에 대해서는 출국금지 조치했다. 검찰은 이들이 신 회장 측에서 금품을 받은 시기에 거래가 있었던 ‘연결 계좌’의 입출금 자료를 조사하고 있다. 신 회장은 검찰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공 의원에게 매달 500만원씩 총 1억 8,000여만원을, 임 전 의원에게는 매달 300만원씩 1억여원을 제공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공 의원은 "여동생이 삼화 측과 용역 컨설팅 계약을 맺은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임 전 의원은 "예전 보좌관이었던 K씨가 금품을 받은 것은 전혀 알지 못했던 내용이지만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들 금품이 은행 퇴출을 저지하기 위한 대가성 로비 자금인지 밝히기 위해 조만간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한 당초 이번 주초 소환 조사할 계획이었던 김종창 전 금감원장의 소환 시기를 놓고 추가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지난주 김 전 원장에게 참고인 신분 소환조사에 응하라고 통보했지만 김 전 원장이 이에 불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원장은 검찰 조사 중 피의자 신분으로 바뀌면서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될 경우에 대비해 법률 대리인과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검찰이 김 원장의 구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를 찾기 위해 소환이 다소 늦어지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김 원장은 은진수(구속)전 감사위원으로부터 저축은행 구명로비를 청탁을 받고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금감원장 재임 중 부산저축은행에 투자한 아시아신탁의 주식을 차명으로 보유한 채 이권을 챙긴 의혹을 받고 있다. 한편 예금보험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부산저축은행은 이날 부산저축은행 관련 3개의 부동산개발사업 특수목적법인(SPC) 차명주주에 대한 의결권 행사 금지 가처분신청을 서울지법에 냈다. 부산저축은행은 "씨티오브퓨어, 도시생각, 리노씨티 3개 SPC의 주주인 이모씨 등은 모두 박연호 등 옛 경영진의 지시를 받는 차명주주들로 주주총회에서 옛 경영진의 입장에 동조해 은행에 손해를 끼칠 수 있다"며 "이들의 의결권 행사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저축은행을 관리해온 예보는 지난 5월 이들 SPC 대표이사의 직무 집행 정지 가처분 신청을 낸바 있다. 진영태 기자 nothingman@sed.co.kr 이수민 기자 noenemy@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