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방송업계도 스마트TV 시대 생존법 마련해야"

한국케이블TV방송協 주최<br>'스마트TV 등장과…' 주제 포럼

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KCTA포럼에 이상대(왼쪽부터) 삼성전자 상무, 박승권 한양대 교수, 한진만 강원대 교수, 최선규 명지대 교수, 심상민 성신여대 교수, 임주환 KLABS 원장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스마트TV의 등장과 방송업계의 변화에 대해 진단했다. 사진제공=KCTA

'TV도 인터넷에 추월당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모바일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방송업계에서도 조만간 출현하게 될 스마트TV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회장 길종섭)가 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스마트TV 등장과 케이블업계의 대응 방안'을 주제로 마련한 포럼에는 각계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방송업계의 진화와 그 방향을 진단했다. 최선규 명지대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는 발제자로 참가해 TV의 스마트화가 기존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TV의 스마트화는 콘텐츠ㆍ플랫폼ㆍ단말기회사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크로스오버(cross over)를 초래한다"며 "스마트TV를 통해 수용자들이 지상파나 유료방송사업자 지배를 벗어나려 할 것인 만큼 사업자들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상당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는 이어 "업계에서는 아직 시청자들이 지상파TV 채널을 선호하고 주문자비디오(VOD)보다는 실시간 시청 위주의 패턴을 보이고 있어 시장에는 커다란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며 "그러나 스마트TV의 등장은 지상파 방송사업자나 케이블TV사업자 등에게 지배를 받았던 TV 수용자들이 스스로 지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도입으로 주도권이 이용자 측으로 넘어간 것을 통해 변화를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날 광고시장의 변화도 예측했다. 그는"향후 실시간방송에서 광고물량이 많아지면서 광고 단가가 내려가고 탄력성이 낮아져 전체 매출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며 "광고수입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수용자를 모아 다시 광고를 파는 기존의 수익모델(BM)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