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바캉스후 수영복관리, 중성세제 사용 손세탁

바캉스 후에 사용했던 물품들을 대충 보관하게 되면 1년 후 못쓰게 될 가능성이 높다.특히 소독약 성분이 많은 수영장 물이나 소금기 짙은 바닷물에 흠뻑 젖었던 수영복은 관리요망 1순위 품목. 바닷물의 염분과 수영장의 염소성분은 수영복의 주소재인 스판덱스를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그냥 보관할 경우 구멍이 나거나 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다른 세탁물과 함께 세탁기에 돌려 빨랫감에 뭉쳐두거나 젖은 채로 오랫동안 방치해 두면 안 된다. 착용했던 수영복은 깨끗한 물에 한동안 담궈 소금기와 약품성분을 제거하고 중성세제를 탄 물에 손세탁을 해야 한다. 바닷물에 오래 있었다면 물에 식초를 두 세 방울 넣고 헹궈 주는 것도 소금기를 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수영복을 건조시킬 때는 여성용의 경우 가슴컵을 마른 타올로 살짝 눌러서 모양이 망가지지 않게 한다. 비틀어 짜지 말고 타올을 사용해 물기를 충분히 제거한 후 그늘에서 말린다. 수영복을 입은 채 선탠오일을 발랐다면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선탠오일은 수영복의 탄력을 떨어뜨리고 원단의 고무줄을 튀어나오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레노마 수영복 김혜숙 실장은 "취급주의 설명서를 꼼꼼히 읽어보고 보관, 관리에 신경쓴다면 가지고 있는 수영복을 오랫동안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