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 직장인 행복도 55점에 그쳐…F학점

국내 직장직장인의 행복도가 100점 만점에 55점, ‘행복학개론’의 점수가 F학점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경제연구소가 직장인의 행복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행복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작성한 ‘대한민국 직장인의 행복을 말한다’ 보고서에서 직장인들은 ‘직장생활이 즐겁지 않지만(48점), 다소 만족하고(53점), 자신의 일이 가치가 있다(65점)’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삶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을 직장에서의 정서, 만족도, 가치라는 세가지 키워드로 도출한 것인데,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행복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눈에 띄었다. 현재 자신의 ‘직장 생활이 가치가 있느냐’는 질문에 평균 65점을 나타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48점, 30대가 53점, 40대가 56점 그리고 50~55세가 61점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행복도는 점차 증가하였다.

관련기사



이번 리포트에서 연구소가 행복감을 느끼는 직장인 상위 20%와 그렇지 않은 직장인 하위 20%의 직장인을 비교한 결과, 행복한 직장인은 긍정적인 감성이 78점으로 그렇지 않다고 느끼는 직장인(35점)과 43점 차이를 보였다.

행복한 직장인은 직장 생활에서 자주 웃고 즐거움을 느끼며, 자신의 일에서 의미를 찾아 직장에서 일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들은 조직에 스스로 활력을 불어넣으면서 인간관계가 넓고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다. 직장 친구가 많을수록 행복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 동호회 가입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인간관계를 확장하였는데, 특히 이들의 동호회 가입률은 그렇지 않은 직장인의 두 배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