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크루그먼교수] "미 고소비 중단땐 경제 치명타"

미국의 현 경제호황은 미국인들의 경쟁적 소비에 따른 것으로 지나친 측면은 있지만 이런 고소비가 갑작스럽게 중단되면 최악의 상황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인 폴 크루그먼 교수가 1일 지적했다.미 MIT대학의 크루그먼 교수는 뉴욕타임스 기고문을 통해 『작년 1·4분기 이후 올 1·4분기까지 경제는 4% 성장했으나 소비는 5.5% 늘어나는 등 경제 호황이 소비주도형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미국인들의 고소비는 많은 주식을 갖고 있는 일부 가구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그렇지 못한 가구들까지도 덩달아 수입보다 많은 지출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크루그먼은 그러나 미국인들이 그간의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대적 만족감을 얻지 못하면서 서서히 고소비의 환상에서 깨어나기 시작했으며 수년내로 미국인들의 소비행태가 보다 현명하고 신중해질 것이란 희미한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소비가 소비자들에게는 행복감을 가져다 주지는 못하지만 고용을 창출한다는 점에서는 유익한 측면이 있다고 말하고 『미국식의 경쟁적 소비는 일본의 소비침체보다는 나은 것으로 미국이 국제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30년대의 공황이 풀이되지 않은 것도 고소비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크루그먼은 또 미국의 소비주도형 경제호황에 무의미한 경쟁적 소비의 요소가 있지만 이런 경쟁적 소비가 미경제의 바퀴를 계속 돌아가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이어 미국인들이 경쟁적 소비를 지속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되겠지만 그렇다고 이런 경쟁적 소비가 갑자기 중단된다면 최악의 상황이 초래될 것이라면서 미국인들의 소비행태가 현명하고 신중해질 것이란 징후가 현실화되길 희망하지만 너무 급속하게 이뤄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