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세계의 사설/10월 21일] 亞, 금융위기 공동 대응책 필요 없나

아시아는 지난 1990년대 후반 금융위기 이후 꾸준히 외환보유액을 축적해왔다. 또 금융구제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아왔다. 아시아 각국은 금융위기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명박 한국 대통령은 아시아의 경제위기를 다룰 새로운 국제기구 설립을 제의했다. 글로리아 아로요 필리핀 대통령도 역내 부실채권을 사들일 대규모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소 다로 일본 총리는 미국의 구제금융대책이 증시를 회생시키는 데 역부족일 것이라며 추가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아시아 각국이 앞다퉈 금융위기 해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진정한 공조는 찾아보기 힘들다. 물론 미국 정부는 매주 경제운용의 방향을 바꾸고 있고 유로권 각국도 협상 막판에서야 간신히 공조에 뜻을 모았을 따름이다. 아시아는 각국 경제상황이 워낙 차이가 나는데다 역내 정치적 연결고리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시아가 공동으로 금융위기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가 몇 가지 있다. 한국의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16일 10년 10개월여 만에 최고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국의 금융시장은 파키스탄과 마찬가지로 디폴트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아시아 증시 전반적으로도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아시아 증시의 자금이탈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투자자들은 미국국채(TB)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고 있다. 하지만 파키스탄 등은 안전한 투자대상국이 아니다. 최근 들어 열려 있는 시간보다 닫혀 있는 시간이 더 많아 보일 만큼 휴장이 잦은 인도네시아 증시도 마찬가지다. 한국은 사기업들의 부채규모가 크고 금융시장의 해외 의존도도 높다. 그만큼 한 차례의 충격에도 취약하다. 물론 2,400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 덕분에 위기를 극복할 저력이 충분한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아시아 각국의 외환보유액은 총 4조달러가 넘는다. 하지만 문제는 이만한 외환보유액이 고르게 분산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아시아 각국 정부는 역내 통화 스와프 계획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아무도 코앞의 미래를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불투명한 상황이다. 다만 아시아의 자금이탈은 아직까지는 일시적이고 처리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앞으로 경기가 침체된 선진국들이 아시아로부터의 수입을 줄일 수도 있다. 이같이 더 심각한 상황도 미리 고민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