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청와대 수석 개편] 대선캠프 핵심멤버 전진배치… 국정운영 추진동력 회복할까

정무감각 갖춘 조윤선 발탁… 주요 법안처리 절실함 반영<br>경제공약 입안 안종범 기용… 최경환과 투톱체제로 갈 듯

박근혜 대통령의 이번 청와대 비서실 개편은 '친정(親政)체제'를 구축해 속도감 있게 국가개조와 경제활성화에 나서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국민들에게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개편으로 총 9명의 수석 가운데 4명이 교체돼 지난해 8월 참모진 교체에 이어 사실상 '제3기' 참모진이 출범하게 됐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공약 입안에 깊게 관여한 친박계 안종범 새누리당 의원을 경제수석에 발탁한 것은 공기업 개혁, 규제완화, 경제혁신3개년계획 등을 통해 경제체질 개선에 한층 속도를 내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또 지난 2012년 대선 때 박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수행하며 그림자 역할을 한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을 정무수석에 임명한 것은 여성 특유의 섬세한 친화력과 포용력을 앞세워 여의도 정치권과의 소통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측근 통한 친정체제 구축=박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로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과 불만이 팽배해 있고 6·4지방선거를 통해서도 민심 이반 현상을 확인한 만큼 친정체제를 확고하게 구축해 느슨해진 국정운영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 개편에 이어 13일에는 내각 장관에 대한 인적 쇄신이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에 물러나는 일부 수석들이 내각으로 자리를 옮길 것으로 관측되는 것도 이 같은 해석에 힘을 실어준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위기상황에서는 국정운영의 컨트롤타워인 청와대가 리더십을 발휘하며 난국을 타개해나가야 한다"며 "박 대통령이 국정철학 이해도가 높은 핵심 인물들을 전진 배치한 것은 이 같은 절박함이 배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야당에서 줄기차게 김기춘 비서실장의 경질을 요구하고 있지만 박 대통령이 이번 청와대 인선에서 다시 한번 김 실장을 유임시킨 것도 이 같은 인식의 일단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관련기사



이번에 유임된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윤창번 미래전략수석, 최원영 고용복지수석 등도 박근혜 정부 인수위원회에 참여했거나 정책입안에 관여한 인물들이어서 친정체제는 더욱 공고하게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개조 속도감 있게 추진=박 대통령이 이처럼 측근들로 청와대 비서실을 개편한 것은 풀어나가야 할 국정과제들이 산적해 있고 이를 위해서는 국정철학을 공유한 인물들의 리더십과 추진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당장 국가개조를 위해서는 △정부조직법 △공직자윤리법 △김영란법(부정청탁 금지 및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법) △유병언법(범죄수익 은닉의 규제 및 처벌법) 등 관련 법안을 조속히 국회에서 통과시켜야 한다.

박 대통령이 정치인 출신으로 여당은 물론 야당으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조 여가부 장관을 정무수석에 임명한 것은 법안 처리에 대한 절실함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박 대통령은 외교관 출신인 박준우 정무수석을 발탁해 새로운 방식으로 청와대와 국회 간 관계설정을 꾀하는 실험에 나섰지만 국회와의 거리 좁히기에는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경제 분야의 경우 박 대통령은 안종범 신임 경제수석을 통해 공공기관 개혁, 규제완화, 경제혁신3개년계획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사태로 내수소비가 침체되고 회복세를 보였던 경제도 다시 가라앉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는 만큼 경제활성화에 팔을 걷어붙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안 수석이 후임 경제부총리로 거론되는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과는 정책 궁합이 잘 맞는 점을 감안하면 '최·안' 투톱체제를 구축해 일관된 경제정책을 수립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청와대 인선에서 김 실장의 건재가 재삼 확인된 것도 눈길을 끈다. 박 대통령은 정무·경제·민정·교육문화수석 자리를 갈아치우면서도 김 실장은 유임시켰다. 인사검증 실패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물어 홍경식 민정수석을 경질하는 선에서 야당의 공세에 답변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안대희 전 총리 후보자 낙마에 이어 문창극 총리 후보자에 대해서도 제대로 인사검증을 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어 김 실장의 유임이 오히려 박 대통령에게는 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관피아(관료+마피아) 척결 등 공직사회 개혁을 비롯한 국가개조를 위해서는 정치와 행정에 밝고 공직사회를 다잡을 수 있는 구심점이 필요한데 김 실장만 한 적임자가 없는 것으로 박 대통령이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