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10년후 유리 빌딩, 자신만의 표정 갖는다"

삼성전자, 세계 첫 유리기판에 LED 구현 성공… 초대형 패널 생산 가능


"10년후 유리 빌딩, 자신만의 표정 갖는다" 삼성전자, 세계 첫 유리기판에 LED 구현 성공… 초대형 패널 생산 가능 김상용기자 kimi@sed.co.kr 앞으로 10년 후면 유리창을 조명이나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10일 세계 최초로 유리기판에 LED를 장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비정질 유리기판 위에 단결정 수준의 질화갈륨(GaN)을 입혀 질화갈륨 발광다이오드(GaN LEDㆍ사진)를 구현하는 데 성공한 것. 이 같은 성과는 세계적 권위의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포토닉스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 2인치 기준의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할 때에 비해 최대 400배, 기술 개발 중인 실리콘 기판보다는 100배 크기의 GaN LED 생산이 가능해진다. 삼성전자는 이 기술을 통해 앞으로 GaN LED가 멀티 광원을 활용한 대형 조명과 디스플레이용 컬러표시소자와 같은 옵토 일렉트로닉스 분야에 확대 적용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GaN LED는 질화갈륨을 발광물질로 사용하는 LED로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 LED가 GaN LED다. 삼성종합기술원의 한 관계자는 "사파이어 기판의 경우 상용화까지 24년 정도 걸렸고 1990년대 초에 개발된 실리콘 기판은 아직 양산에 이르지 못했다"며 "유리기판의 상용화 기간은 약 10년 정도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10년 후 미래에는 유리창이 곧 조명으로 디스플레이로 활용돼 건물이 자신만의 표정을 띠게 될 수 있다"며 "대면적화를 통해 하나의 기판에서 많은 LED칩을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 등 다양한 부문에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자업계에서는 아직까지 유리기판 GaN LED 생산비용이 사파이어보다 싸다는 것이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기판 사이즈가 커지면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T·과학&자동차] 앗! 내가 몰랐던 정보들도 가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