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MICE·농생명산업·오일허브… 지역 맞춤형 일자리 160만개 만든다

고용부, 지역일자리정책협의회

29일 서울 마포구 가든호텔에서 열린 '지역일자리정책협의회'에서 중앙정부 관계자와 광역자치단체 부단체장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권욱기자


기업 유치 위주 정책서 벗어나 특화된 인프라 최대한 활용에
고용서비스 제공 등 방식 다변화

특성화고 산업계 연계지원 강화… 낙후 산단엔 종합복지관 조성


경단녀 종합 취업지원서비스도 "2018년까지 고용률 70% 목표"


경기도는 고부가가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판교와 광교를 창업 허브로 육성하고 자금과 멘토링 지원을 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는 'G-창업지원네트워크'를 통해 광교밸리의 기술창업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G-베이스캠프'를 조성해 협업·교육 공간과 멘토링·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G-창업프로젝트'를 통해서는 시제품 제작비와 컨설팅 비용, 입주비용 등을 지원한다. 경기도는 이와 함께 청년층 특성에 맞는 개인별 맞춤형 종합 취업지원을 위해 '경기청년뉴딜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최현덕 경기도 경제실장은 "특성화고와 대학·기업이 참여해 상담에서 취업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산업계와 연계한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창업·창직을 활성화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겠다"고 밝혔다.


경기도의 사례와 같이 개별 지자체들은 특화된 인프라를 활용해 맞춤형 일자리 창출에 발 벗고 나섰다. 울산은 '동북아 오일허브 가속화' 구상 아래 석유트레이딩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연구지원센터를 설립한다. 더불어 오일허브특화 금융중심지 지정과 국제금융센터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북은 지역농업과 전통문화를 활용할 방침이다. 농업·농촌-생태자원-전통문화를 상호 연계하는 관광콘텐츠를 개발하고 농생명산업 육성과 지역자원을 활용한 로컬푸드 중심의 6차 산업 육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인천은 카지노 특구 조성과 MICE산업 활성화 등 관광·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29일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과 17개 시도 부시장·부지사 등이 참여한 가운데 서울 가든호텔에서 열린 '지역일자리정책협의회'에서는 민선 6기(2014~2018년) 일자리 창출 목표와 달성방안에 대한 집중 논의가 이뤄졌다. 주요 추진방향을 보면 기업유치에 국한됐던 민간일자리 부문에 있어 지역의 특화된 인프라 활용을 통한 산업육성이 눈에 띄고 직접일자리 사업 위주에서 직업능력과 고용서비스 등으로 다변화되는 점, 정책주체도 자치단체 단독이 아닌 협업시스템이 구축되는 게 특징이다.

그 중 12개 광역자치단체는 임기 내인 2018년까지 고용률 70% 이상을 달성하는 것으로 목표를 설정했다. 특히 그동안 고용률 추세 변화를 감안할 때 부산과 대구·경기 등의 지역은 내년 고용률 증가 목표를 상당히 적극적으로 설정했다. 2013년 말 고용률과 2015년 고용률 공시목표를 비교해보면 부산은 61.6%→64.0%, 대구는 63.1%→65.8%, 경기는 64.6%→67.4%로 잡고 있다.

김규옥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은 "청년과 여성, 저소득층, 기반구축, 신노동 시스템 구축 등 5대 전략 20개 사업을 통해 일자리 55만개를 창출해 고용률 70%를 달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의 경우 도심과 대학을 연계한 7개 창조발전소를 마련해 인재를 양성하고 저소득층을 대상으로는 노후화된 산업단지에 근로자종합복지관을 건립해 고용환경을 개선하고 취업지원을 유도할 방침이다.

대구의 경우 사회적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중점 추진한다. 전문직 퇴직자의 재취업을 지원해 전문 경험을 통한 사회공헌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경력이 단절된 여성에게 종합적인 취업지원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해 경제활동 참여율을 높일 계획이다.

각 지자체들은 노사와 학계, 주민과 행정기관 등이 협업하는 시스템도 구축하며 변화를 꾀하고 있다. 부산은 일자리 창출 주체가 모두 참여하는 일자리 컨트롤타워인 '부산일자리위원회'를 운영해 단편적으로 수행되는 일자리 사업을 총괄·조정하기로 했다. 충북은 융합행정을 위한 지자체와 행정기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해 충북 고용쑥쑥 프로젝트 실무협의회를 월 1회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중앙정부도 자치단체의 일자리 창출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인력양성과 일자리 정책체계를 중앙정부 주도에서 지역 중심으로 전환해나가기로 했다. 고용부는 지역 맞춤형 일자리 사업,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청년·중장년 취업성공 패키지 등 각종 일자리 사업에 대한 자치단체의 참여와 권한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장관은 "광역자치단체에 기초자치단체 사업 선정권을 부여하고 지역인자위에 훈련과정 승인 권한을 주는 한편 청년 및 중장년 취업성공 패키지 참여자 선발에 자치단체가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일자리정책을 중앙정부가 중심이 돼 양적으로 늘리기보다는 지역 특성을 반영해 미세조정하는 쪽으로 바꿔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