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타임제 도입으로 연간 최대 1,000억원 이상의 전력을 아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일 '삶과 환경을 바꾸는 녹색생활' 보고서에서 서머타임제 도입에 따른 사회ㆍ경제적 효과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서머타임제는 하절기 일과시간을 한 시간씩 앞당겨 사용하는 것으로 정부는 내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소는 서머타임제가 시행되면 자연광을 활용하는 '가조(可照)시간'이 매일 1시간씩 증가해 가정용ㆍ상업용 전력수요가 월간 전력 사용량으로 따져 0.42~0.98% 절약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전력사용금액으로 환산하면 서머타임제를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시행할 경우 한국전력의 전력시장 평균 구입단가로 계산하면 연간 500억~1,180억원을 아낄 수 있다.
연구소는 여기에 예술ㆍ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과 운수업에서 생산이 3.14%와 0.61%씩 늘어나 장기적으로 각각 5,641억원과 5,722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정일 수석연구원은 "야간운전이 줄어 교통사고가 감소하고 일몰 전 귀가 인구가 늘어 범죄 발생률도 낮아지는 등 사회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며 "정부는 서머타임제 도입으로 늘어난 여가를 활용할 수 있게 생활체육ㆍ문화ㆍ교통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서미타임제 도입에 대해 현재 경제단체 등은 찬성하고 있지만 노동계에서는 사실상 정시 퇴근이 어려워 노동시간만 늘어난다는 등의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