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인기 자동차, 대중교통비 인상, 지폐의 역사, KBO 리그, 백종원 요리법, 배우 하정우, 한강 녹조, 파워포인트(PPT) 만드는 법…. 각종 언론사의 ‘카드뉴스’가 다룬 주제다.
구성은 시각적 이미지와 폰트 크기가 큰 글자 몇 자만 있으면 된다. 이른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도 뛰어나다. 제작에 투자하는 시간 대비 비교적 많은 독자를 끌어모을 수 있다.
카드뉴스 유행의 시작은 SBS라는 게 정설이다. SBS 뉴미디어부는 2014년 8월부터 카드처럼 한 장씩 넘겨가며 볼 수 있도록 뉴스 화면을 짤막한 설명과 함께 재구성해 홈페이지에 올리기 시작했다. 한겨레신문도 같은 해 10월부터 디지털콘텐츠팀을 꾸려 카드뉴스 제작에 돌입했다. 국가기간 뉴스통신사인 연합뉴스도 지난 1월부터 카드뉴스를 서비스하고 있다. 지금은 종합일간지, 경제지, 온라인 매체 등 수많은 언론사가 카드뉴스를 만들어 노출하고 있다.
강정수 디지털사회연구소장은 모바일 기기에서 읽힐만한 기사가 무엇인지 언론사가 고민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물로 카드뉴스가 탄생했다는 점에서 카드뉴스를 높이 평가했다. 카드뉴스의 유행으로 뉴스를 풀어나가는 방식이 육하원칙 일변도에서 벗어나 혁신적으로 바뀌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논리적 비약은 카드뉴스의 단점으로 꼽힌다. 링크 값을 추가로 제공하거나 모바일에서도 길이가 긴 심층·분석기사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 소장은 “모바일에서는 카드뉴스와 같이 쉽게 소비하는 기사 형식도 존재해야겠지만, 롱 폼 저널리즘(long-form journalism)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