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사모 M&A 전용펀드 결성 활기

벤처캐피털 중심 수백억규모 적극참여 추진정부가 M&A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형 벤처캐피털을 중심으로 M&A 전용펀드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특히 이들 대부분이 M&A펀드를 기존 벤처투자의 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하고 있어 벤처캐피털들의 투자전략에 중대한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B네트워크, 산은캐피탈등 대형 캐피털업체들은 금감위가 사모 M&A펀드 운용주체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함에 따라 따라 M&A 전용펀등 등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밝히고 있다. 관련기사 금감위의 한관계자는 "아직 관계부처와 협의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지만 원래의 취지에 맞는 방향으로 결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우선 KTB네트워크는 사모 M&A펀드의 등록규정이 확정되는 대로 상반기내 500억원 규모의 사모 M&A펀드를 결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사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사모 펀드가 결국은 공모 방식으로 갈 수 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전략도 준비중이다. 이 회사는 이외에도 별도의 전담부서를 설치, 다각적인 장기 발전비전을 마련중인 것이며 이중에는 투자은행(Investment Bank)으로의 전환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캐피탈 역시 연내 200억원 규모의 M&A 펀드를 결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이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밝히고 있다. 특히 이업체는 중소ㆍ벤처기업보다는 부실징후가 보이는 중견기업, 그리고 시장 점유 정도가 낮은 기업을 주된 투자대상으로 설정한 상태다. 산은캐피탈은 이를 위해 관련업무를 벌처(Vulture)팀에 일임,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중이다. 무한기술투자도 현재 운영중인 펀드가 어느 정도 정리되고 관련규정이 정비되는 하반기께 M&A펀드를 구성하거나 다른 펀드를 이용해 이시장에 진출할 방침이다. 산은캐피탈의 이호준 기획팀장은 "구조조정전문기업(CRC)이 사후적인 구조조정이라면 M&A펀드는 사전적인 구조조정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비용부담이 적은 것이 특징"이라며 "M&A를 벤처투자의 엑스트(exit)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등 유동화에 유리한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송영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