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유네스코 세계유산, 일본 우경화에 이용돼선 안돼 ”


“유네스코 세계유산, 일본 우경화에 이용되선 안돼 ”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일본 우경화에 이용되선 안된다”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을 포함한 메이지시대 산업유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앞두고 세계 NGO단체 대표들이 한목소리를 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장소인 독일 본에서 세미나를 열었다.


일본의 전후보상 운동 분야에서 국내에도 잘 알려진 야노 히데키(사진)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절대 일본의 우경화에 이용되어서도, 국내 관광을 위한 수단이 되어서도 안 되며, 무엇보다 관련 역사의 전체가 반영되지 않고서는 등재돼서는 안된다”며 “일본은 주변국의 의견을 경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야노 사무국장은 “지금 일본정부가 등재를 추진하는 유산에 포함된 탄광 등의 노동현장은 조선인·중국인·연합군 포로의 강제노동 현장인 것은 물론이고 일본 국내의 수형자나 피차별 민중 등이 노예처럼 사역된 역사를 지닌다”면서 “그럼에도 일본정부가 이런 사실은 지적하지 않고 산업화의 성공 이야기로 세계유산에 등재하고자 하는 것은 세계유산협약이나 유네스코 이념에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야쿱 데카 폴란드-독일간 화해재단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는 “폴란드에서 아우슈비츠는 폴란드인뿐만 아니라 전 유럽 유대인의 박해에 관한 어두운 역사를 간직한 곳”이라며 “폴란드와 독일정부는 이런 곳에 대한 세계유산 등재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홀로코스트 기념일을 통해 반인륜적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세대에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안네 쿠글러 뮐호퍼 독일 촐른 산업박물관장은 “우리 박물관은 19세기 이래 산업화 과정에서 폴란드, 벨기에, 네덜란드 등 유럽 각지에서 강제 징용이 발생한 역사를 소개하며, 그러한 역사를 담기 위한 특별전 개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서 “세계유산은 밝고 어두운 모든 역사를 담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네덜란드 대일본명예부채배상촉구회 얀 반 바흐텐동 회장은 인도네시아에서 일본군에 형을 잃고 가족이 파괴되는 아픔을 겪은 개인사를 소개하고는 “일본정부가 추진하는 2차대전을 비롯한 과거 미화를 더는 좌시하면 안 되며, 더욱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면서 “일본의 반인륜적·반인권적 행위에는 반드시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민족문제 연구소는 이번 세계유산위 한국 정부대표단 숙소인 마리틴 호텔 1층 홀에서 ‘부정적 세계유산과 그것의 미래 가치’라는 주제로 일본의 산업유산 등재 움직임을 비판하는 전시회를 개막하면서 각국 관련 NGO 단체 대표자들을 강연자로 초청한 토론회도 개최했다. 연구소는 이번 세계유산위 개최에 즈음해 ‘부정적 세계유산’을 통해 역사 기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산이 지닌 부정적 측면에 대한 인정과 언급이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정신 구현에 주는 의미를 다시 확인하고자 일본의 산업유산 등재가 결정 나는 오는 3일까지 관련 사진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시회에는 세계유산 중에서도 부정적 세계유산들인 아우슈비츠 수용소와 독일 졸페라인 탄광, 마셜제도 핵 실험지, 일본 히로시마 원폭 돔과 함께 이번에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곳 중 조선인 강제징용의 현장들인 야하타제철소, 미이케탄광, 미쓰비시 나가사키조선소, 전함 무사시 등의 관련 사진을 내걸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