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Book Classic] 일본을 이해하고 싶다면…

■ 한일 과거사 처리의 원점(이원덕 지음, 서울대출판부 펴냄)

■ 자민당 정권과 전후체제의 변용(박철희 지음, 서울대출판부 펴냄)



■한일 과거사 처리의 원점 (이원덕 지음, 서울대출판부 펴냄)

■자민당 정권과 전후체제의 변용 (박철희 지음, 서울대출판부 펴냄)


광복70년, 분단70년을 맞으면서 동북아에 다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G2로 성장한 중국은 외교전략으로 유소작위(有所作爲·적극 개입해 뜻을 관철시킨다)를 내세우며 센카쿠(댜오위다오) 영토분쟁에 공세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일본도 이에 대응 아베총리를 중심으로 집단자위권 행사를 용인하는 안보관련 11개 법안 개정을 추진하고 러시아도 극동개발을 겨냥해 야심을 키우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승전70주년 기념식 참가도 이런 동북아 정세를 반영하고 있다.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근현대사 굴절을 야기한 일본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오랫동안 일본을 연구해온 박철희 서울대 일본연구소장(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으로부터 근현대 일본 이해에 기본이 될 수 있는 책 두 권을 소개받았다. ‘한일 과거사 처리의 원점’(이원덕 지음, 서울대출판부)과 ‘자민당 정권과 전후체제의 변용’(박철희 지음, 서울대출판부)이다. 박 소장은 “두 책을 통해 일본의 전후처리과정과 현대에 이르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조명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일 과거사 처리의 원점’은 도쿄대학에서 국제관계론을 전공해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이원덕 국민대 일본학연구소장이 도쿄대학원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 1996년 펴낸 책이다. 1951년부터 14년간의 한일회담의 경과와 타결과정에 대해 분석했다. 요시다 정권부터 기시, 이케다, 사토정권에 이르는 타결 과정을 일본측의 입장에서 자세히 다뤘다.

한일교섭에 있어서 ‘과거문제’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타결에 이르렀는지를 일본의 대한정책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식민지 지배에 대한 사죄와 반성, 응분의 보상을 요구하는 한국측의 요구에 대해 일본측이 어떠한 자세와 정책으로 대응해 왔고, 또 일본의 대응에는 어떠한 국제적·국내적 요인이 영향 미쳤는가라는 질문에 체계적으로 답하는 게 초점이다. 1차 자료 위주로 된 사실감과 분석력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고 있다.

‘자민당 정권과 전후체제의 변용’은 박철희 일본연구소장이 직접 쓴 책이다. 제대로 반성하지 않고 있는 일본의 현재 모습과 자세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자민당의 변화를 통해 흥미롭게 드러내 보인다. 일본 정치의 변화는 자민당 정치의 변화를 의미하며 자민당과 야당의 복합적인 경쟁과 협력 관계 속에 전후 체제가 변화해 온 모습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자민당은 1955년 창당이래 2009년 8월에 이르기까지 54년에 걸친 기간 중 11개월을 제외하고는 줄곧 집권당을 유지해 자민당에 대한 이해는 일본 정치·외교 이해의 기본을 형성한다. 전후 일본의 정치가 보·혁 대립의 구도에서 보수 정당 간 경쟁의 정치로, 자민당 내 파벌 간 유사 정권 교체에서 정당 간 정권 교체로 바뀐 맥락을 분석하고, 전후 지배 이념과 정책적 대립축이 이행하는 과정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