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과목 따라 교실 이동, 2014년까지 전국 중·고교 실시

내년까지 일반계 고교에 교과교실제 도입<br>2014년까지 전체 중ㆍ고교로 확대

일부 중·고교에서 시범 운영중인 교과교실제가 오는 2014년까지 전국 대부분의 학교로 확대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같은 내용의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 기본계획'을 9일 발표했다. 교과교실제는 교사가 학급을 찾아가며 수업을 진행하는 현행의 '학급교실제'와 달리, 학생들이 대학생처럼 교과별 특성화된 전용교실로 이동해 수업을 받는 방식으로 2009년 시범 도입돼 현재 전체 중·고교의 15%인 806개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우선 내년까지 일반계 고교에 교과교실제가 도입된다. 교과부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올해 고교 1학년부터 전체 교육과정이 선택형으로 바뀌고, 진로집중형 과정이 운영된다”며 “일반고에 교과교실 환경을 조기에 구축해 선택형 교육과정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2014년까지는 6학급 이하 소규모 학교 등을 제외한 전체 중·고교(5,383교)의 약 90%에 교과교실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다만 전체 학교의 18%(968교)를 차지하는 농어촌·중소도시 지역의 6학급 이하 소규모 학교는 학생수 증감 추이 및 지역적 필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별도 지원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교과부는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일시에 교과교실제를 시행할 경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여건에 따라 '선진형'과 '과목중점형'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계획이다. 선진형은 전 교과에 적용되며 과목중점형은 학교 선택에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교과만 적용하는 유형이다. 궁극적으로는 선진형 정착이 목표인 만큼 과목중점형을 선택한 학교는 단계적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단, 신설학교는 처음부터 선진형을 도입해야 한다. 교과부는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에 맞춰 올 상반기 국어, 영어, 수학 등 7개 교과의 과목별 수업 모델을 개발해 각 학교에 제공할 예정이다. 또 교사 증원을 위해 기간제 교사 채용을 확대하고 실적 우수자는 정규 채용 때 우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기존 행정학급의 의미가 퇴색하게 돼 법령을 개정해 학교급별 교원 배치 기준을 '학급 수'에서 '학생 수'로 바꿀 계획이다. 교과부는 상반기까지 시도별 수요조사를 통해 세부계획을 확정하고 연내 법령 개정을 마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