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주간에 기차·숙박·맛집·전통시장 할인을 해주고 비공개 관광지에 임시입장을 허용하면 상당한 수요진작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미국·영국·일본·중국 등도 이미 관광주간을 운영해 성과를 올리고 있다.
하지만 효과와 타당성이 의문시되는 부분도 적잖다. 관광주간 중 초중고교 재량휴업을 유도하겠다는 게 대표적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당초 전국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관광주간과 연계한 '봄·가을방학' 도입을 추진했다. 이 기간에 휴가를 쓸 수 없는 맞벌이 부모와 초등학생 자녀 입장에서는 짜증날 수밖에 없다. 중간고사를 앞둔 학생들도 부담스럽다.
현실의 벽에 부딪치자 문화부는 '올해의 관광도시' 내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재량휴업을 실시하는 방향으로 후퇴했다. 그 결과 정책 취지와 수단이 겉돌게 됐다. 올해의 관광도시는 다른 지역 관광객을 불러들이려고 선정한다. 다른 지자체의 초중고교가 재량휴업을 해야 효과를 낼 수 있는데 거꾸로 간 셈이다.
정부가 올해 상반기 관광주간으로 선정한 5월1~11일이 국내여행 성수기라는 점도 부담이다. 근로자의 날과 어린이날, 석가탄신일이 끼여 있어 숙박업소·교통편 예약이 쉽지 않다. 관광주간 재량휴업과 학부모의 휴가가 겹칠 수 있는 가족이라면 길게는 9~11간 해외여행을 떠날 가능성이 높다. 부작용이 우려되는 정책이라면 재고하든지 거둬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