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혈액검사만으로 치매 진단 길 열려

김영수 KIST 뇌과학 연구소팀

베타아밀로이드 검출법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를 혈액 검사만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앞으로 기술이 상용화되면 치매 진단이 지금보다 훨씬 간편해져 병세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영수(사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 연구소 박사팀은 6일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단백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를 혈액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혈액 내 베타아밀로이드의 존재 여부는 국제적으로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지만, 혈액 진단 가능성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려왔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생쥐의 뇌에 베타아밀로이드를 다양으로 넣어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킨 뒤, 혈액을 뽑아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을 분석했다. 이에 따라 뇌 안의 베타아밀로이드 농도가 올라가면 혈액 속의 베타아밀로이드도 이에 비례해 많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기술이 임상시험을 거쳐 상용화되면 치매가 중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베타아밀로이드는 혈중에 극소량만 존재하기 때문에 현재 병원에서 쓰고 있는 장비로는 분석이 불가능하다. 이에 KIST 개방형 연구사업단은 매우 적은 양의 베타아밀로이드를 정밀 분석할 수 있는 장비를 현재 개발 중이다. 또 국내외 병원, 대학, 기업체와 힘을 합쳐 치매 진단을 위한 ‘나노바이오 센서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김 박사는 “이번 연구가 치매 환자수 감소와 의료비 절감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