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줄기세포 조작' 진실 규명 초읽기

검찰, 이르면 금주중 중간수사결과 발표할듯

줄기세포 조작을 둘러싼 논란의 진위를 가릴 검찰 수사가 김선종 피츠버그대 연구원, 황우석 서울대 수의대 교수, 윤현수 한양대교수 등 핵심 관련자 소환만 남겨둔 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검찰은 한 달 동안 수사를 통해 사실 관계 대부분을 확정했고, 황 교수 등 핵심관련자들을 불러 이 내용을 확인하는 절차만 남겨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서울대 조사위 결론 중 미세한 `오류'를 밝혀내긴 했지만, 줄기세포 존재와 관련해 경천동지할 만한 새로운 사실을 찾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져 수사 결과는 누가, 얼마나 조작에 가담했는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황 교수팀 연구에 사용된 난자 수급 과정을 둘러싼 의혹도 상당 부분 사실 관계가 확인한 것으로 알려져, 감사원 감사에서 드러난 황 교수팀의 정부 연구비 및 민간 후원금의 부당 사용 내용만 파악하면 수사는 종결되는 셈이다. ◇ 검찰, "돌 다리도 두드려보자" = 검찰은 지난달 12일 이후 3차례나 압수수색을 벌이며 저인망식으로 수사를 진행했다. 서울대 조사위가 내린 결론을 뒤집을 만한 결정적인 증거가 나올 경우 여론에미칠 파장과 중간 수사결과 발표 이후 제기될 수 있는 검찰 수사에 대한 불신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검찰은 강제 수사 권한이 없는 서울대 조사위가 하지 못했던여러 실험도 했다. 검찰은 미즈메디 병원이 보관하고 있는 1∼15번 줄기세포 (Miz-1∼15) 1천500여개와 황 교수팀의 1∼3번 줄기세포(NT-1∼3) 300여개를 봉인, Miz-1~15 각 6개, NT-1~3 각 3개 등 99개의 샘플을 무작위로 가져와 DNA를 분석했지만 `진짜' 줄기세포는찾지 못했다. 황 교수팀이 작년 3∼8월께 실험용 쥐 100여 마리의 척추를 손상시켜 이 중 50마리에 줄기세포 1, 2번(NT-1번과 2번)을 척수에 주입하는 실험을 한 사실도 확인하고, 1,2번 각 5마리씩 10마리를 가져와 DNA를 분석했으나 의미있는 결과는 나오지않았다. 노성일 미즈메디 병원 이사장이 황 교수 몰래 상업화를 목적으로 미국의 연구소에 줄기세포를 빼돌렸다는 의혹도 제기됐지만, 검찰은 진짜 줄기세포가 건네졌다는결정적인 단서는 찾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환자맞춤형 줄기세포의 경우 체세포 제공자에게만 쓸모가 있고, 줄기세포 자체보다 이를 수립,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빼돌리기'자체가 의미 없는 주장이라는 반박도 제기됐다. ◇ 한양대 3인 조사…누가 조작 주도했나 드러날 듯 = 검찰은 이번주 김선종 연구원과 윤현수 한양대 교수, 이양한 국과수 서부분소 연구실장 등 한양대 출신 3인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이들은 2004년과 2005년 논문에서 줄기세포 DNA 시료와 데이터 분석에 관여했기때문에 의혹의 열쇠를 쥐고 있을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2004년 논문 조작은 NT-1번의 체세포 공여자가 뒤바뀌어 있는지가 의혹의 핵심이다. 서울대 조사위는 최근 황 교수가 2004년 논문 제출 수개월 전 서울대 의대 C 교수에게 `Miz-1'이라고 적힌 시료를 사진으로 찍어줄 것을 의뢰하는 등 조작에 처음부터 가담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검찰은 황 교수를 소환하면 2004년 논문 조작에 얼마나 개입했는지와 제2, 3 공저자로 이름을 올린 유영준, 박종혁 연구원의 구체적인 역할 등에 대해 확인할 방침이다. 2005년 논문에서는 NT-4~11 시료를 조작한 것은 이미 황 교수도 시인했기 때문에 NT-2~3의 데이터 조작 과정을 밝혀야 한다. 강성근 교수 등 서울대 조사위에서 `침묵'했던 핵심 관련자들은 검찰 조사에서상당 부분 사실 관계를 해명했다고 전해져 중간 수사 결과 발표 때 2,3번 조작 과정전모도 드러날 전망이다. 조사위에 따르면 2,3번은 권대기 서울대 연구원이 세포 침전물 상태로 김선종연구원에게 전달했고, 김 연구원은 DNA를 추출해 국과수 이 연구실장에게 넘겼다. 황 교수가 권대기, 김선종 연구원에게 조작을 지시했다면 처음부터 황 교수 주도로 조작이 이뤄진 셈이고, 황 교수가 몰랐다면 김 연구원을 비롯해 데이터 분석에관여했던 측이 조작을 주도한 게 되기 때문에 검찰은 황 교수와 김 연구원을 상대로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섀튼 교수가 2004년, 2005년 논문 작성 과정에서 부적절한 처신을 하기는 했지만 과학적인 부정행위는 없었다는 피츠버그대 조사 결과는 `부적절한 처신'을 두고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수사의 장애가 되지는 않는 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검찰은 김 연구원과 황 교수를 이번 주 차례로 소환할 방침이어서 이르면 이번주까지는 중간수사결과가 발표되면서 줄기세포 조작을 둘러싼 진실 게임도 매듭지어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