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아저가제품 미공략 쉽지않다”/유에스뉴스지 보도

◎“미 기업·노동단체 고용불안 내세워 시장보호 요구 태세”【로스앤젤레스=연합】 통화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유일한 위기탈출책으로 대외 수출 확대가 제시되고 있으나 최대의 시장인 미국의 소비자들이 이들을 구해줄만큼 소비를 늘릴지 의문이라고 유에스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지 최신호가 15일 보도했다. 유에스뉴스는 지속적인 호황을 누리고 있는 미국의 연말 쇼핑규모는 지난 해에 비해 4% 가량 늘어날 전망이나 기업들의 기구축소와 합병, 기술변화 등으로 상당수의 직장인들이 실직의 우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일부 소비자들은 신용구매에 따른 부채상환을 염려해 소득증가분만큼 돈을 쓰려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현재 미국 경제계에서는 자동차, 가전제품 등 값이 내려간 아시아산 상품이 미국시장에 몰려올 경우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 소비붐이 일어날 것인지 여부가 가장 큰 관심사인데 그럴 경우 미국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보고있다. 값싼 아시아산 상품의 범람은 미국의 인플레 억제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반면 미국 상품의 가격 인하를 유도, 이윤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제조업체들이 아시아나 멕시코로 다시 이전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최근 크게 늘어난 미국의 고용을 위협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의 자동차 업계는 특히 한국과 일본 자동차의 시장석권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 경우 업체나 노동자 단체들이 어떤 형태든 정부의 보호조치를 요구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밖에 화학제품과 철강, 반도체, 기계류, 광섬유 등 분야에서도 똑같은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보이며 미국 최대의 노조인 AFL­CIO와 자동차 노조, 철강 노조 등 노동자단체들이 벌써부터 『미국을 마지막 시장으로 보아서는 안 될 것』이라며 노동쟁의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고 US 뉴스지는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