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반기업 정서’는 해결책이 아니다

[사설] ‘반기업 정서’는 해결책이 아니다 두산그룹의 오너간 경영권 분쟁, 삼성그룹이 연루된 안기부의 불법도청 녹취록 공개 등 불미스러운 사건이 잇따라 터져 재계가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눈길이 곱지 않은 판에 자칫 반기업 정서가 고조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두 사건 모두 오너경영과 지배구조 문제에 따른 투명성 논란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다분한 성격의 사건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반기업 정서 확산은 기업과 기업인의 사기를 떨어뜨려 경영활동을 위축시키고 경제회생을 그만큼 더디게 만든다는 점에서 경계해야 한다. 안기부 X파일 사건은 그 진상이 철저하게 밝혀져야 한다. 그러나 사건의 전개과정을 보면 걱정스럽다. 불법도청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는 물론 사회를 불신의 늪으로 몰아넣는 행위로 결코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다. 따라서 불법도청의 불법성과 폐해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는데 이보다는 녹취록의 내용에 쏠리고 있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사안의 민감성 때문이겠지만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목적이 좋으면 불법수단을 동원해도 괜찮다는 인식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두 사건의 사실여부는 검찰수사 등을 통해 밝혀질 것이고 잘못이 있다면 당연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러나 일부 잘못이 있다고 해서 기업 자체를 매도하거나 일방적으로 몰아붙여서는 곤란하다. 이번 사건, 특히 삼성의 경우 과거의 일이라는 점이 고려돼야 한다. 과거사라는 이유만으로 면죄부를 주는 것은 온당하지 않지만 지난해 대선자금 수사과정에서 드러났듯이 과거 정치자금 제공은 일종의 관행이나 다름없었다. 기업인들은 처벌을 받았고 이를 계기로 투명성 제고를 위해 심혈을 기울여왔다. 과거의 잘못 때문에 기업들의 이런 노력까지 무시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 기업을 희생양 삼아 정략적으로 이용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기업들도 뼈를 깎는 자성과 함께 투명성과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을 더욱 가속화해야 한다. 이번 사태에서 보듯 반기업 정서는 기업 스스로가 원인을 제공한 측면도 크기 때문이다. 삼성의 대국민 사과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옮겨져야 할 것이다. 입력시간 : 2005/07/25 16:4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