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약특집] "日을 벤치마킹하자"

정부·제약사·의사 신약개발 협력구축<br>임상시험 활성화 제도적 뒷받침 적극 "신약등 연구개발비 지원 대폭 늘려야"

국내 제약업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는 개량신약을 ‘노다지’로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전폭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기업을 주축으로 정부와 의사가 공동의 노력을 보태 세계적인 제약강국으로 부상한 일본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 연구개발비 지원 확대해야=정부는 지난해 8월 바이오신약을 비롯한 바이오테크놀로지(BT)분야를 미래 국가중심산업인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신약개발 등 연구개발비 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신약개발 예산은 고작 200억원대. 미국기업인 화이자가 연간 6조원을 R&D에 쏟아붓는 점을 감안하면 새발의 피다. 선진국과 비교해도 명확하게 차이가 난다. 2001년 기준으로 미국은 BT에 정부 연구개발비의 25.9%를 지원했다. 영국은 12.6%, 일본은 10% 수준이다. 하지만 한국은 8.3%에 그쳤다. 정부 예산과 연구개발비 지원 규모 자체에서 상대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로 비교하기조차 부끄러울 정도다. 보건복지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등 관련 부처별로 살펴보면 상황은 더욱 암울하다. 올해 복지부에서 신약개발에 지원되는 연구비는 과제당 평균 1억원 미만. 참여 과제수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대해 제약협회는 신규 신약개발프로그램에 제약사를 분야별로 선정해 우수연구센터를 지정, 매년 5~10억원 규모로 집중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과기부 또한 신약개발에 일부 연구비가 지원되고 있으나 기초연구와 국공립연구소 및 대학 위주여서 제약기업 참여율이 낮고, 산자부는 아예 연구비 지원이 미미하고 그나마 전임상시험까지만 지원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개량신약개발프로그램 신설과 연간 100억원 연구자금을 5년간 지원하는 신규 중기거점 프로그램을 가동할 필요가 있다고 업계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제약시장의 맹주, 일본을 배우자=일본의 제약시장 규모는 약 8조엔(80조원)이다. 미국 다음으로 전 세계 2위로, 우리나라의 10배가 넘는다. 매년 개발하는 신약만 10여개에 이른다. 1위 제약사인 다케다약품공업의 매출은 10조원 규모다. 국내 1위인 동아제약(약 5,000억원)의 20배 이상. 이 같은 일본 제약시장의 성장은 신약개발을 위한 정부와 제약기업, 의사들의 다각적인 노력의 결과로 풀이된다. 일본정부는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해 단백질 해석 프로젝트에만 2002년 43억엔을 지원했다. 2006년까지는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를 5,000명이나 양성해 신약승인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맡길 계획이다. 신약 검사기간도 건당 평균 440여일에서 250일 이하로 단축했다. 또 R&D에 대한 세액공제도 8~10%이며, 지난 2002년엔 10년 뒤를 겨냥한 ‘의약품산업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해 실천중이다. 심지어 최근 일본정부는 다국적기업에 잠식돼가는 제약시장을 우려해 인수합병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을 강력하게 주장해 5위권 내의 두 기업 합병을 유도하기도 했다. 여기에 의사들마저 자국내 기업의 약품을 적극 애용하며 오늘의 일본시장을 키워왔다. ◇아직 기회는 있다=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최근 국내 연구개발중심 제약기업 33개사가 추진중인 99개 과제의 예상 매출액 및 수익규모 등을 분석한 결과 이들 과제가 연구개발에 성공해 상업화될 경우 사업화 직후 연평균 국내외 매출규모는 무려 8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업화 이후 5년내 연 평균 국내외 매출규모는 13조3,000억원에 이르며, 예상 수익규모는 연평균 1조3,000억원, 5년 이내 2조4,000억원에 이르는 등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대체효과 또한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磯? 이 같은 매출 규모는 우리나라 제약업계 전체의 연간 총 생산규모를 웃도는 수준이며, 수익 또한 5배 이상 달하는 수치다. 하지만 이들 과제 중 3분의 1 정도 만이 정부의 지원을, 그것도 소액으로 받고 있어 대다수 제약사의 경우 자금 마련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김정수 제약협회장은 “그 어느 때보다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정부의 장기적이고 규모있는 지원이 절실하다”며 “정부가 얼마만큼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해줄 수 있는 지 여부에 따라 신약과 개량신약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